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동료 및 상사지지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로 근무하고 있는 216명을 대상으로 2022년 2월 7일부터 18일까지 2주간에 걸쳐 e-mail을 통한 비대면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가 인식한 감정노동, 동료 및 상사지지, 직무태도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고 감정노동의 내면행동, 동료 및 상사지지는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의 내면행동과 직무태도 관계에서 동료 및 상사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을 완화하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동료 및 상사지지의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nd supervisor support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perceived by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on job attitud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on-face-to-face survey through e-mail from Feb. 7 to 18, 2022, targeting 216 people working as activity support workers for the disabl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First, emotional labor, peer and supervisor support, and job attitude perceived by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and emotional labor's inner behavior, peer and superviso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attitude.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eer and supervisor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s inner behavior and job attitu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peers and supervisors so that they can relieve emotional labor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and concentrat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