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논의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ㅏ, ㅜ, ㅣ/) 발음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후행 종성의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피험자들에게서 산출된 음성 자료를 음향・음성학 및 통계학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7종성에 따른 선행모음 /ㅏ/와 /ㅜ/의 F1은 차이가 없으나 F2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모음 /ㅣ/의 실현 양상에는 종성에 따른 변화가 없다. 특히 /ㅜ/의 경우 비음・유음 앞에서 폐쇄음과 크게 다르며 혀가 더 구강 앞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현된다. 이는 피험자의 모국어 발음 습관과 음절 구조로 인해 한국어 단모음의 발음에서 부정적인 전이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t has been discussed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n Korean pronunciation.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monophthong(/ㅏ, ㅜ, ㅣ/) are affected by coda consonants. The results of 7 coda consonants showed that only F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ase of /ㅏ/ and /ㅜ/. But the patterns of the preceding vowel /ㅣ/, there is no differe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ㅜ/, the pattern of nasal and liquid sounds coda consonant is very different from plosive sounds. The tongue position of nasal/liquid sounds coda consonant is closer to the front of the mouth than plosive sounds. It was interpreted that negative transitions occurred in the pronunciation of Korean monophthong due to the learner’s L1 pronunciation habits and syllable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