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통영 미륵도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화산섬으로, 화산이 폭발한 후에 함몰되고 원형의 틈새를 따라 유문암질 및 화강암질 마그마가 순차적으로 관입한 칼데라 구조의 화산이다. 본 연구는 미륵도에서 야외조사를 통해 지질명소를 발굴하고, 그들의 지구과학교육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미륵도에서 지질명소를 선정할 때의 평가기준으로는 학술적 가치, 경관 가치, 방문자의 안전 및 접근의 편이성, 그리고 문화관광 명소와의 연계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미륵도의 지질명소는 10곳이다. 지질명소 ①의 미륵산 정상에서는 미륵산안산암과 다도해 지형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안산암은 판구조운동의 섭입대에서 산출되는 전형적인 화산암이다. 이 암석은 수직절리와 수평절리가 발달하고, 사장석 반정의 반상조직을 갖는다. 지질명소 ②의 통영국제음악당 해안로에서는 장평리층을 관찰한다. 이 명소에서는 전형적인 역암, 사암, 셰일을 한 장소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층리나 점이층리와 같은 퇴적구조가 잘 발달한다. 지질명소 ③인 등대낚시공원에서는 풍화작용으로 형성된 해안절벽, 해식동굴과 시스텍 등의 지형경관을 관찰한다. 이 해안로에서는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제주도의 하루방'처럼 보이는 형상의 암석도 관찰된다. 지질명소 ④의 국립남동해수산연구원에서는 남산유문암이 열수에 의해 변질된 암석의 양상과 해파에 의해 침식된 지형경관을 관찰된다. 이 명소 주변에는 백악기 후기에 관입한 화상섬록암이 노출되어 있다. 지질명소 ⑤인 척포항 마동리에서는 산상화산암인 마동데사이트의 전형적인 표면색 및 광물조직을 관찰하고, 경사를 가진 절리를 따라 침식 잔류한 시스택 경관을 조망한다. 지질명소 ⑥인 통영수산과학관과 주변의 달아공원은 석양을 감상하는 유명관광지이다. 이 명소의 해안 노두에서는 반상조직을 가진 짙은 녹색의 달아안산암으로 이루어진 횡와주상절리를 관찰한다. 이 명소의 해안에서는 안산암의 단암질 각력암을, 산의 정상부에서는 유상구조를 관찰한다. 지질명소 ⑦의 한려해상생태탐방원의 다양한 색과 크기의 화산력을 포함하는 곤리도응회암과 화산력이 풍화작용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자갈 해변을 관찰한다. 이 명소의 서측해안에서는 안산암을 관입한 유문암의 관입접촉부도 관찰한다. 지질명소 ⑧의 박경리기념관 주변에서는 미륵산 칼데라의 중앙으로 마지막 관입한 산성암인 미문상화강암(그래노파이어)을 관찰한다. 지질명소 ⑨의 광바위 해안로의 끝의 등대 부근에서는 안산암에 발달한 직선형과 곡선형의 주상절리를 관찰한다. 지질명소 ⑩인 용화사 주변에는 칼데라의 단층을 따라 미륵도를 원형으로 관입한 화강섬록암를 관찰하며, 도솔암에서는 반정을 포함하지 않은 미륵산 안산암 관찰한다. 미륵도 지질명소는 초등학교 3~4학년 교육과정의 화산활동, 화강암과 현무암, 지층의 형성을 학습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이들은 중학교 교육과정의 암석, 암석의 윤회와 풍화작용에 해당하며,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한반도의 지구 역사, 퇴적환경, 암석의 조직, 지질구조에 해당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선정된 지질명소는 초·중등 지구과학교육의 학습장으로 매우 유용하다. 지질명소의 교육적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년이나 특성에 맞는 야외답사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질학적 의의를 명확하고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는 지질 해설사를 육성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안내판, 리플릿 등의 교육자료가 개발된다면, 미륵도 지질명소는 경상남도 남부의 훌륭한 지구과학교육의 학습장이 될 것이다.


Mireukdo in Tongyeong city is volcanic island erupted at the Cretaceous of Mesozoic Era. The island shows a caldera structure due to collapses downward, following the intrusion of rhyolitic and granitic magma one by one along the circular fault. This study is to develop geosites through field surveys in the island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value for earth science. In selecting geosites, the safety and access for visitors and the connection with cultural tourist attractions were all considered. There are 10 geosites in Mireukdo selected in this study. Mireuksan andesite and archipelago topography can be observed at the top of Mireuksan Mountain, geosite ①. The andesite is a typical volcanic rock produced at the subduction zone of plate tectonics. The rock develops vertical joints and horizontal joints, and has porphyritic texture with plagioclase phenocrysts. The Jangpyeong-ri Formation is observed on the coastal road of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Center, geosite ②. The geosite shows the typical clastic sedimentary rocks such as conglomerate, sandstone, and shale in one place. Here, sedimentary structures such as stratification and graded bedding are clearly developed. At the Lighthouse Fishing Park, geosite ③, topographical landscapes such as coastal cliffs formed by weathering, large-scale sea caves and sea stacks are observed. In this coastal road, rocks shaped like 'Harubang statue of Jeju Island' formed by erosion are also observed. At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Southeastern Sea and Fisheries, geosite ④, the topographical landscape of Namsan rhyolite is observed as a rock that has been altered by hydrothermal water and eroded by sea waves. Around the geosite, granodiorite that intruded in the late Cretaceous period is exposed. At the geosite ⑤, observe the surface color and mineral texture of Madong dacite distributed in Cheokpo Port of Madong Village, and view the remaining sea stack landscape along the sloped joints. Tongyeong Fisheries Science Museum, which is a geosite ⑥, and the nearby Dala Park are famous tourist spots to enjoy the sunset. The coastal outcrop of the geosite shows transverse columnar joints formed of dark green Dala andesite with a porphyritic texture. A monolithic breccia of andesite is observed on the coast of the geosite, and the flow structure is observed at the top of the mountain. Gonnido tuff containing volcanic lapilli of various colors and sizes and gravel beaches formed by the separation of volcanic power through weathering are observed at Hallyeo Marine Ecology Center, geosite ⑦. On the west coast of the geosite, the intrusion contact of rhyolite that intruded alongside andesite is also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Park Gyeong-ri Memorial Hall of geosite ⑧, micrographic granite(granophyre) may be observed, the last acid rock that intruded into the center of Mireuksan caldera. In the vicinity of the lighthouse at the end of Gwangbawi Coastal Road in Geological Site ⑨, straight and curved columnar joints developed in andesite are observed. Around Yonghwasa Temple of geosite ⑩, observe granodiorite that intruded circularly through the caldera fault and Mireuksan andesites without phenocryst at Dosolam temple. The Mireukdo geosites are learning center that corresponds to volcanic activity, granite, basalt, and strata formation of the 3rd to 4th grad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y are in line with the rock, rock cycle, and weathering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correspond to the earth history,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rock organization,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e selected 10 geosites are very useful 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learning centers.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use of geosit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field-trip and educational programs suitable for the grade or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and foster geological commentators who can clearly and interestingly convey geological significance. If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information boards and leaflets are developed, Mireukdo geosites will be a great place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n southern Gyeongsangnam-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