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과 분노에 공존하는 비합리적 신념의 인지 내용 중 자기비난과 의존성의 관점에서 우울이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로 하여 분노를 유발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우울· 비합리적 신념· 분노 척도로 구성된 설문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첫째, 우울· 비합리적 신념· 분노를 잠재 변수로 구성하고, 잠재 변수를 구성하는 관측 변수(심리적 우울, 생리적 우울, 자기비난, 의존성, 예민성, 실망감)가 타당하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적 요인 분석으로 검토했다. 결과, 잠재변수를 구성하는 관측변수는 타당하게 구성되었고, 측정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을 독립 변수,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 변수, 분노를 종속 변수로 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구조모형 분석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우울은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로 하여 분노에 영향을 끼치는 간접 요인으로 나타나, 비합리적 신념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든 비합리적 신념의 인지 내용이 우울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고, 비합리적 신념의 인지 내용에 따라 비합리적 신념의 역할은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우울과 분노에 공존하는 자기비난과 의존성의 관점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우울과 분노 조절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aspect of the dependency and self-criticism of irrational beliefs coexisting in depression and anger, to investigate whether depression causes anger by mediating irrational belief. To this end, To this end,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depression, irrational beliefs, and anger were conducted targeting 534(male: 214, female:329)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depression, irrational beliefs, anger are composed of latent variables. And the observation variables(psychological depression, physiological depression, self-criticism, dependency, sensitivity, disappointment) that constitute latent variables are to see whether was set validly, it was conducted t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six observation variables were respond properly to latent variables, the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we set up a model with depress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irrational belief as a mediate variable, anger as a dependent variable.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 as 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As a result, depression appears to be an indirect factor affecting anger through the media of irrational beliefs,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belief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cognitive content of all irrational beliefs is the cause of depression. that is, it suggest the role of irrational beliefs may work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gnitive content of irrational beliefs. This study was contributed the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depression and anger control program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in terms of self-criticism and dependency coexisting in depression and a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