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범금팔조>를 사료비판의 과정에 주목한 학습 내용으로 구조화하여 보고,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해 보고 읽어보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해 보고자 한 글이다. 사료를 활용한 역사수업은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고, 7차 국사 교과서 이후 <범금팔조>는 탐구활동의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료를 활용한 탐구를 통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는 논의에도 불구하고, <범금팔조>를 활용한 사료학습은 여전히 교과서에 서술되어 오던 내용을 습득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사료를 읽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사료를 읽고 생각을 유도하는 탐구과제를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임을 고려한다면, <범금팔조> 또한 학생들이 비판적 읽기를 경험하는 데 활용될 필요가 있다. 특히 <범금팔조>는 기록된 것과 실제로 일어난 것이 다를 수 있다는, 역사적 사실이 지니는 특징을 학생들이 포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료비판의 과정에 주목한 <범금팔조> 학습은, 학생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자료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고, 텍스트에 나타난 내용에 대한 신빙성 문제나 저자의 관점, 이에 대해 역사가의 해석이 개입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structuring the Code of Eight Prohibitions of Gojoseon(<Beomgeum-Paljo>) as a learning content focusing on the process of critique of historical materials, and to present a case in which students can experience critical thinking and reading. History classes using historical materials have gained a lot of attention, and since the 7th Curriculum, <Beomgeum-Paljo> has been used as a material for inquiry activities. However, despite the discussion that there is a need to enhanc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learning with historical materials, what is required through the historical learning with <Beomgeum-Paljo> is still only at the level of acquiring the contents that have been described in textbooks. Considering the necessity of presenting an inquiry task that induces thinking by reading historical materials so that students can practice reading historical materials critically, <Beomgeum-Paljo> also needs to be used for students to experience critical reading. In particular, <Beomgeum-Palj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 of history that past record does not correspond directly to the past rea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