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중국의 역사적 인물인 왕소군(王昭君)의 이미지의 변모 과정과 역사기억의 시기별 특징을 고찰하고, 동시에 현재 왕소군을 활발히 기념하고 있는 내몽골 소군박물원에서의 현지 참여 경험을 토대로 내몽골 지역 주민들의 담론과 심리적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비소수민족자치구역인 후베이(湖北)성에 있는 왕소군 기념물과 대비 본 연구는 체계적인 비교분석에 목적을 두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 후베이성의 기념물을 다루는 이유는 비소수민족자치구역과의 대조를 통해 소수민족자치구역에서의 민족주의 구축의 특수성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되어 나타나는 ‘다원일체론’적 민족주의를 밝히고자 한다. 상상된 영웅의 과거를 신비롭게 구성하여 국가의 권위를 표출하는 것은 근대 민족국가의 일반적 특징이지만, 다민족국가에서 국가적 영웅의 창출은 훨씬 더 복잡한 논리를 필요로 한다. 대표적인 다민족국가인 중국은 근대화 과정에서 왕소군을 여성영웅으로 추앙하여 민족주의 구축의 국가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역사적 자원으로 활용했다. 왕소군은 실존했던 역사적 인물로, 최초 등장한 한나라 시기부터 현재까지 그녀의 이미지는 계속 변모해왔다. 그녀는 민족적 저항, 다민족국가건설, 소수민족통합, 다원일체적 국가 구축 등의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되어 왔는데 가장 흥미로운 것은 맥락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져 왔으며, 소수민족 우세지역과 한족 우세지역에서 그 상징적 가치가 다르게 활용되어 왔다는 점이다. 특히 중국 민족주의의 ‘재소환 및 재기’시기에 북방소수민족지역인 내몽골에서 그녀는 ‘다원일체’ 민족주의 구축의 역사적 소재로 적극 활용되어 왔는데, 이는 페이샤오퉁의 ‘다원일체론’의 민족주의 이념을 재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t is common for modern nation-states to express the authority of the state by mythicizing an imagined hero’s past. But the creation of national heroes in a multinational state requires much more complex logic. China, a representative multi-ethnic country, held up Wang Zhaojun as a heroine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used her as a historical resource to help establish a unified national identity. The image of Wang Zhaojun, a historical figure, her image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since her first appearance during the Han Dynasty. She has been used in various contexts, including national resistance, multi-ethnic country construction, minority integration, and pluralistic state construction. Most interesting is that her symbolic value has been used differently in minority and non-minority areas. In particular, in Inner Mongolia, a northern minority region of China, she was actively used as a historical resource for the establishment of “Diversity in Unity” nationalism during the “recall and comeback” period of Chinese nat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