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상황에서, 이러닝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구글클래스룸 시스템 사용 경험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러닝 운영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사립대학교 학생 29명의 4차산업과미래설계 등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유형으로 정의하였다. <유형 Ⅰ>은 ‘사용하기가 쉽다’는 요인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어 ‘사용 용이성’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Ⅱ>는 ‘강의실 운영을 신뢰한다’ 등의 요인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어, ‘서비스 품질’로 명명하였다. <유형 Ⅲ>은 ‘장소 및 PC와 모바일 환경에 제약 없이 활용할 수 있다’ 등이 강조되고 있어 ‘유용한 시스템’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글클래스룸 이러닝 시스템 운영 인식은 응답자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구글클래스룸 시스템 사용 인식 유형화 결과로서, 기존 연구인 기술수용모형과 정보시스템성공모형 가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에서의 구글클래스룸 시스템 학습자 인식 경험의 유형이, Davis(1986)의 기술수용모형에서 제안된, 지각된 사용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은 <유형 Ⅰ>로,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은 <유형 Ⅲ>에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DeLone과 McLean(2003)의 수정된 정보시스템성공모형에서 제안된, 정보품질(information quality)은 <유형 Ⅱ>와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구글클래스룸 이러닝 시스템이 기술수용모형과, 수정된 정보시스템성공모형의 주요 변수를 반영한, 양질의 이러닝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많은 학습관리시스템 가운데 하나인 구글클래스룸 이러닝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이러닝 교육을 강화하며, 실재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성과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under the coronavirus pandemic, students' perceptions of elearning operations regarding the experience of using the Google Classroom system operated as part of elearning were identified. For the analysis,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for 29 private university students in the 4th industry and future desig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efined as three types. In <Type I>, the factor of 'easy to use' showed a high score, so it was named easy of use. In <Type II>, factors such as I trust in the operation of the lecture room showed a high score, so it was named Quality of Service. <Type Ⅲ> was named useful system because it emphasized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s in places, PCs, and mobile environments.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Google Classroom elearning system differs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ypifying the use of the Google Classroom system, the existing researche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hypothesis, were confirmed. In other words, the type of perception experience of learners of the Google Classroom system in this study is the perceived easy of use proposed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Davis (1986) as <Type I>, and perceived usefulness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ype III>. In addition, by confirming that the information quality proposed in the revise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of DeLone and McLean (2003)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ype II>, the Google Classroom elearning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regarded as a high quality e-learning system that reflects the main variables of the revise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This study aims to reinforce learner centered elearning education by confirming the usefulness of the Google Classroom elearning system, one of many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nd to contribute to finding practical and effective educational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