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해당 시설 주변의 보행환경이 노인의 특성을 고려해 구축되어 있는지 평가하는데 있다. 보행환경평가는 홀트대구종합사회복지관, 청곡종합사회복지관, 범물노인복지관, 고산노인복지관 반경 300m 내의 12개 구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보행환경 평가지표는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접근성, 가로활력수준의 각 항목별로 정성적·정량적 지표를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보행환경 평가결과, 청곡종합복지관과 범물노인복지관이 안정성, 쾌적성, 편의성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 중에서도 범물노인복지관 주변 환경이 노인이 보행하기에 가장 적합했다. 본 연구는 보행환경평가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노인들의 보행동선을 고려한 정자나 벤치 등의 휴게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휠체어를 타거나 보조보행기구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환경에 있는 노인들이 편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보행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보차분리시설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불법주차의 경우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 주변에 주차장을 조성하거나 복지시설 주변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단속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해짐에 따라 실제로 노인의 사회적 활동이 이뤄지는 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 주변의 보행환경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walking environmen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useong-gu, Daegu is buil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was evaluated by selecting 12 zones within a radius of 300m of Holt Daegu Social Welfare Center, Cheonggok Social Welfare Center, Beommul Senior Welfare Center, and Gosan Senior Welfare Center. Th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index was evaluated by sele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for each item of safety, comfort, convenience, accessibility, and street vitality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Cheonggok General Welfare Center and Beommul Senior Welfare Center were high in terms of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The environment around the Beommul Senior Welfare Center was the most suitable for the elderly to walk.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First, rest facilities such as pavilions and benches were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pedestrian routes of the elderly. Seco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 elderly in various environments can walk comfortably, such as riding a wheelchair or using auxiliary walking equipments. Third, it was found that pedestrian safety was secured by installing a pedestrian separation facility, and in the case of illegal parking, parking lots were buil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or regular crackdowns were need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valuated the pedestrian environment around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ctually take place a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ecomes important as they enter an aging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