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상북도 노인의 사회서비스 정보접근성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6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서비스 정보접근성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정보접근성의 차원을 정보 접근, 정보 이해, 정보 활용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노인 특성(연령, 거주지, 기초생활수급, 독거)에 따라 이 세 가지 차원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서비스 정보 접근에 있어 연령대가 높을수록, 면 지역에 거주할수록, 기초생활수급자일수록, 독거일수록 매체보다 인적 자원을 통한 정보습득 비중이 높았다. 사회서비스 정보 이해와 관련하여 연령이 높을수록, 면 지역에 거주할수록, 독거노인일수록 정보 이해 편리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서비스 정보 활용은 전반적으로 활용 수준이 높아질수록, 즉 온라인 정보검색에서 온라인 신청서 작성의 단계로 올라갈수록 노인들의 활용력이 확연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읍면 지역으로 갈수록, 기초생활수급자일수록, 독거노인일수록 사회서비스 정보활용 수준이 낮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집단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사회서비스 정보접근성 제고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in Gyeongsangbuk-do an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635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living in Gyeongsangbuk-do. The dimension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were divided into information access,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usag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se three dimens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ge, residence,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and living alone).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older the elderly, the more they live in rural areas, the older the recipients of the basic livelihood, and the older people living alone, the more difficulties they had in accessing, understanding, and using social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a differentiated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social services improv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group should be sought, rather than a uniform information accessibility improvement method, and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