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직업세계의 변화에 따라 진로상담의 대안모델로 주목받는 우연학습이론(Mitchell et al., 1999; Krumboltz, 2009)을 기반으로 대학생용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연학습이론 진로상담의 기본 가정과 구성 요소를 반영하고 계획된 우연기술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대학생용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 7명과 매칭모델 기반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비교집단 7명 및 무처치 통제집단 8명을 대상으로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탐색행동, 진로관여, 외적 장벽, 개인적 성장 및 삶의 만족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해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집단 간 사전동질성을 검증하고, 측정시점에 따른 주요 변인들 점수의 유의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비모수검정인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계획된 우연기술, 개인적 성장 및 삶의 만족이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비교집단에서는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관여가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외적 장벽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연기술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안녕감이 향상되는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career group-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happenstance learning theory(Mitchell et al., 1999; Krumboltz, 2009). This study aimed to (1) develop a career group-counseling program based on happenstance learning theory, and (2) examine the efficacy of the program. In study, sev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sev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omparison group, and eigh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PSS 22.0 were used to test the efficacy of the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experimental group, planned happenstance skills, personal growth, and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For the comparison group,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occupation engag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developed a career counseling program that improve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well-being.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career counseling practic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