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20년에 발생한 범죄 중에서 강간범죄(유사강간 포함)와 강제추행 범죄에서 여성은 각각 97.6%, 90.2%로 피해를 겪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의 성폭력 범죄는 2010년에 비해 50% 이상 급증하였다. 여성의 성폭력 범죄를 근절하고자 경찰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근절 정책과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경찰에서는 전국 여성 안심구역 및 여성안심귀갓길, 여성안전기획관 신설, 여성폭력 전담체계 등을 구축하고 있으며, 학계에서는 여성의 성폭력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대책방안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성인 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성폭력 범죄두려움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거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를 규명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성폭력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전국범죄피해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6,626명의 자료를 토대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2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으로는 범죄소식이,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비공식 통제,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으로는 범죄소식이,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으로는 지인의 범죄피해 경험, 범죄소식이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6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으로는 범죄소식이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70대 이상의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환경적 요인을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비공식 통제,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관한 근절 정책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Among the crimes that occurred in 2020, 97.6% and 90.2% of rape crimes (including similar rape) and sexual assault crimes, respectively, were found to be victims of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has increased by more than 50% compared to 2010. In order to eradicate the crime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not only the police in practice, but also the academia, the eradication policy and research on it are constantly in progress. The police are building a nationwide women's safe zone, a safe return road for women, a new women's safety planning office, and a system dedic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while academia is investigating the causes of women's fear of sexual violence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countermeasures.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that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sexual violence crimes according to the age of adult women, or separate them in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causes of fear of sexual violence according to age in adult women by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data from the National Crime Damage Survey of the Korea Criminal Policy Research Institute were used, and a total of 6,626 persons were u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investigated that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age of adult women have different effects on fear of sexual violence. In particular, regional disord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age groups, but regional ties of social integr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age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policies to eradicate women's fear of sexual vio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