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과 세계시민교육 수업의 의미와 목표, 실천 과정을 바탕으로 실제 사회과 수업에서 세계시민성 담론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질적 사례연구 방법에 근거하였으며 면담을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 실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사회과 교과서, 수업 활동자료 등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세계시민성 담론은 수업 목표, 내용, 방법에서 전반적으로 연성적(soft) 세계시민교육에 가까웠다. 시회과 수업은 교과서에 등장한 세계시민교육의 주제와 내용, 관점을 충실히 수용해 구성되었으며, 이에 수업에서 세계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은 주제에 따라 ‘그들’의 문제인 기아와 난민, ‘우리 모두’의 문제인 환경 문제로 이분화되었다. 사회과 교사들은 글로벌 이슈의 인식 제고를 위해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수전략을 적용하면서, 학생들이 인도적·호의적 차원의 문제해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불평등, 사회정의 관련 주제의 수업은 교과서에 등장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나타났고 적극적인 연대나 협력을 통해 문제해결에 참여하는 학생의 역할과 변화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과 수업의 세계시민교육이 보편적 인권, 인류애, 다양성을 강조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타자의 존재와 시각, 불평등과 차이를 간과하는 한계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discourse of global citizenship appears in actual social studies classes based on the meaning, purpose, and practical proces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lasses. Based on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empirical data related to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actice were collected, and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extbooks and class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scourse on global citizenship in social studies focused on sof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class goals, contents, and methods. Teachers reorganized the class by actively accepting the topics, contents, and perspectives that appear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Teachers applied various learner-centered teaching strategies to raise awareness of global issues, and encourag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humanitarian problem solving. Classes on topics related to inequality and social justice were limited when they appeared in textbooks. These results suggest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discourse of global citizenship that emphasizes universal human rights, humanity, and diversity in social studies classes, but at the same time overlooks the existence, vision, inequality, and differences of various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