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세계 교회는 지금 2022년 독일에서 열리는 제11차 WCC 칼스루헤 대회 를 앞두고 있다. 이 시점에서 본 논문은 WCC의 역사를 통해 WCC 종교 간 대화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성찰하고, 한국교회에 적절한 종교 간 대화 모델을 탐색하는 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WCC 종교간 대화의 역사 성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WCC 종교간 대화의 특징이 드러났다. 첫째, 종교간 대화는 WCC의 ‘정체성’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WCC의 핵심적 사업이었지만, 처음 출발의 시기는 전통적인 교회의 인식에 따라 ‘배타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었다. 그렇지만 WCC는 선교 현장에서 만나는 이웃 종교와의 대면을 통해 일방적인 제국주의적 태도만으로 이웃종교에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면서 종교 간 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게 되었다. 둘째, 제3차 뉴델리 대회에서 WCC와 IMC가 통합되고 또 WCC 산하에 종교간 대화를 전담하는 조직이 갖추어지면서 종교 간 대화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신학에 따라 이웃 종교 속에서도 역사하는 하나님의 활동을 인정하며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이 시기 WCC의 가장 대표적인 작업은 WCC의 각종 회의에 이웃 종교들을 공식적으로 초대한 일과 함께, 교회가 이웃 종교와 어떤 자세로 대화해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대화지침(Guidelines)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셋째, 1990년대 이후 종교 간의 대화는 ‘종교적 다원성’(religious plurality)의 문제와 씨름하면서 WCC의 역사에그 휙을 그을 만큼 매우 중요한 진전을 이루고 또 그에 따른 선언문들을 발표했지만, 현재는 종교 간 대화를 비판하는 그룹들과의 갈등 과정에서 기독교의 자기 정체성의 문제로 씨름하는 ‘모라토리엄’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런상황에서본논문은한국교회에서발생한종교간갈 등의 한 사례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등장한 종교 간 대화의 한 모델인 ‘풍류 -해방도 모델’(pungryudo-liberation model)을 한국 교회에 제시하였다.


In 2022, world churches are looking forward to the 11th WCC Assembly in Karlsruhe, Germany. In the meantime, this article reflects how interreligious dialogue paradigm has shif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WCC and strives to find an appropriate interreligious dialogue model for Korean church. Three characteristics of interreligious dialogue of WCC were identified from the reflection of its history. First, although interreligious dialogue is now considered as WCC’s core business as well as its identity, the beginning of WCC revealed its ‘tendency of exclusivism’ following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hurch. However, WCC felt the needs of interreligious dialogue as it encountered other religions from missionary sites and learned that it was not appropriate to approach other religions with one-sided imperialistic attitude. Second, interreligious dialogue became legitimate as WCC and IMC integrated in the 3rd Assembly of New Delhi, and created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interreligious dialogue which admitted God’s work among neighboring religions under the ‘Missio Dei’ theology. The most significant events during this period were the invitation of WCC’s conferences to other neighboring religions and establishment of specific guidelines on interreligious dialogue regarding its attitude. Third, despite its significant progress and declaration which made a mark in WCC’s history after struggling with the problems of ‘religious plurality’ after 1990, interreligious dialogue is now in a phase of ‘moratorium’ as conflict with groups which criticize interreligious dialogue leads to the issues of Christian identity. In the midst of such period, this article observes conflicts arisen in Korean church between other religions and introduces Pungryudo-liberation model which appeared from the progress of interreligious dialogue in the case of Korean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