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인 미디어가 유행하면서 나타나고 있는 질 낮은 콘텐츠의 유통으로 인한 법적, 윤리적 분쟁에 대한 대 응책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는데 학계와 업계가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 지 1인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한 교육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교육 프로그램이 부실하기 때문 이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비판적으로 탐 색하여 효과적으로 현재의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현재 제기되고 있는 1인 미디어 문제를 이용 형태(생산 대 소비)와 피해대상(자신 대 타인)을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문제에 대해 기존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개 선방안을 도출했다. 아울러 효과적인 1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학습자 중심 교육, 미디어 자체 에 대한 교육, 그리고 시민성 함양 교육 보완을 제안했다. 다음으로 이러한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응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교안의 틀을 작성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 교안 을 교육 대상과 교육 여건을 고려해서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변경하고 재구성해서 사용한다면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더 나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서 앞으로 교육 효과 의 측정과 평가 방법, 장기적인 교육 프로그램 탐색, 교육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제안했다.


Academia and industry agree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s a countermeasure to legal and ethical disputes caused by the distribution of low-quality content that is emerging as one-person media is popular. However, until now, educa- tion for one-person media literacy has not been executed because of the lack of proper education programs. With this awareness in mind, this study tried to find alternatives to effectively respond to current problems by critically explor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xis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To this en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the cur- rent one-person media problem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type of use (production vs. consumption) and the victim (self vs. others). The suitability was re- view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In addition, for effective one-person media literacy education, it was proposed to supplement learner-centered education, education on media itself, and education for cultivating citizenship. Next, based on these discussions, a framework for teaching that can be applied and us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was prepared and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If this training plan is flexibly changed and reconfigured to suit the situation in consid- eration of the educational target and educational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results will be achieved. Finally, for better media literacy education, empirical research on edu- cational effects, methods of measuring and evaluating effects, exploring long-term edu- cational programs, and research on ways to help educators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