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초등학교 교육 현장의 특성상 학습자의 학습 결과에 교사가 미치는 영향이 강력하다는 판단 아래,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초등 문법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다각도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문법 교과의 잠재적 교육과정을 밝히기 위한 일련의 단계 속에서 추후 이루어질 학습자 조사와 연계하고, 문법 영역의 교육과정에서 의도하는 바를 벗어난 지점을 규명하여 발전적인 초등 문법 교육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을 정리하고, 문법 교육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더하여, 잠재적 교육과정과 문법 교사의 관계성을 논하고, 특히 초등 문법 교육에서 교사의 인식을 잠재적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분석해야 할 당위성을 언급하였다. Ⅲ장에서는 최대 편차 표집 선정과 편리한 표집 선정 원리를 통해 서울 소재 공립 초등학교 소속 교사 9명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문법 교과 전반에 대한 인식을 묻는 범주와 문법 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을 묻는 범주로 양분하였으며, 총 11개의 질문을 구성하였다. FGI 결과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고 범주화하였다. Ⅳ장에서는 분석 결과 도출된 ‘초등 문법 교육에 대한 충분한 이해 부족’, ‘초등 문법 영역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 ‘문법 교육에 대한 개별적, 고착화된 교육관’, ‘문법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 및 이해 부족 인지’, ‘일률적인 문법 교수・학습 방법 및 매체 사용’, ‘문법 교육에 대한 흥미, 적극성 결여’의 6개 범주에 대해 상세하게 논의하였다. 본고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문법 교육에 대한 인식이 현행 문법 교육에서 표방하는 직접적인 학습 효과나 목적을 벗어난 간접적인 효과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추후 문법 교육 결과 학습자가 획득한 산물 중 표면적인 형식적 교육과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들과의 관계성을 밝혀 초등 문법 교육의 본질적인 측면과 현실을 살필 수 있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심층적으로 논의할 것이다.


It has long been held that teachers have a strong effect on learner performance due to the natur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regarding elementary grammar education from multiple angles and from perspectives on hidden curriculums. Ultimately, this will function as base material for the proposal of advanced elementary grammar education by creating links with learner surveys that are to be conducted later in a series of stages with the goal of revealing hidden curriculums of grammar courses and by identifying points that have moved away from the intentions of grammar curriculums. For this, Chapter Ⅱ summarizes the concepts of hidden curriculums and discusses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hidden curriculums in grammar education. In addition, it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dden curriculums and grammar teachers and in particular, it mentions the appropriateness of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s in elementary grammar education from aspects of hidden curriculums. In Chapter III, nine teachers from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ampled through the principles of maximum deviation sampling selection and convenient sampling selection, and FGI wer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a category asking perceptions of general grammar subjects and a category asking for perceptions of grammar class management, and a total of 11 questions were composed. The FGI resul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through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Chapter IV discussed in detail the six categories of “a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regarding elementary grammar education,” “the importance of grammar areas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subjects,” “fixed educational views on grammar education”, “a lack of learner interest in grammar education,” “uniform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edia use,” and “a lack of interest, expertise, and activeness in grammar education”, which were deduced from analysis results. From perspectives of a ‘hidden curriculum’,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observed the effects of the gramma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cluding direct learning effects advocated in current grammar education and indirect effects that have moved away from initial goals. Beginning with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things that cannot be explained through superficial and formal curriculums related to outcomes acquired by learners as a result of future grammar education will be revealed and in depth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on the essential aspects of elementary grammar education and hidden curriculums that can look into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