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눌재 박상의 문집 『눌재집』 권4에는 산수 초목 등을 제재로 한 48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본 논문은 안평대군으로부터 시작된 「사십팔영」의 한 작품이라 추정되는 이 작품군의 정체를 밝히고, 전대의 「사십팔영」과 비교 분석하여 연관성과 특징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박상의 「사십팔영」은 대제목이 명명되어 있지 않고 관련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실제로는 그 정체를 단언하기 힘들다. 하지만 여타 「사십팔영」과의 비교를 통해 규명할 수 있다. 시조 격인 안평대군의 「사십팔영」은 소실되었으나, 이를 가장 이른 시기에 차운한 최항의 「사십팔영」을 대표작으로 삼아 비교할 수 있다. 그 결과 박상의 「사십팔영」과 최항의 「사십팔영」은 체제가 서로 유사하였으며, 하위 작품의 운자도 일치하였다. 이 점은 박상의 「사십팔영」이 안평대군의 「사십팔영」과 연관관계에 있으며, 곧 안평대군의 「사십팔영」을 이은 작품임을 보여준다. 박상의 「사십팔영」과 전대의 「사십팔영」을 하위 작품 간 비교 분석할 때, 구체적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박상과 최항의 「사십팔영」에서는 수련에서 제재의 출처를 밝히고 함련에서 외형을 묘사하며 경련에서 제재와 관련한 전고, 객관적 사실 등을 제시하고 미련에서 작자의 의도를 표하는 양식을 공통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원나라 문인 양재(楊載)의 『시법가수』에서 제시된 영물시의 장법과 일치하는 것으로, 곧 박상의 「사십팔영」이 최항의 「사십팔영」과 장법상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박상의 「사십팔영」은 최항의 「사십팔영」과 장법상 연관관계를 이루지만, 작자의 개성에 따른 작시 특성이 함께 존재하였다. 박상의 「사십팔영」은 장법에 따라 연마다 서로 다른 측면에서 제재를 표현하면서도 시간적 배경, 외형, 상태 등 특정 요소를 매개로 삼아 통섭하였다. 그리하여 작품은 치밀한 교직을 이루고 있다. 이 점은 장법을 적용하여 제재를 여러 측면에서 다루는 과정에서 연 사이의 통섭이 억제된 최항의 「사십팔영」과는 다른 박상 「사십팔영」의 특징이다.


In Nuljae Park-Sang’s anthology, 48 poems of mountains, waters, plants and trees are included. This paper aims to find these works’ identity, carry out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previous generation’s “Sasippalyoung” to find connection and unique characteristics. Park-Sang’s identity of “Sasippalyoung” can be ascertained by a comparison with the other “Sasippalyoung”. Though Prince Anpyeong’s “Sasippalyoung”, a progenitor, was disappeared, can regard Choi-Hang’s “Sasippalyoung”, which matched rhyme with it, as a representative work and compare with it. As a result, Park-Sang’s “Sasippalyoung” and Choi-Hang’s “Sassippalyoung” were similar and sub works’ rhyming words matched as well. It shows Park-Sang’s “Sasippalyoung” has connection with Prince Anpyeong’s “Sasippalyoung”, that is, showing it succeeded Prince Anpyeong’s “Sasippalyoung”. When comparing Park-Sang’s “Sasippalyoung” and previous generation’s “Sasippalyoung”, It is possible to find specific connections. Actually, in works of both Park-Sang and Choi-Hang, revealed source of a material in a first couplet, described appearance in a second couplet, suggested an authentic precedent, usage, etc. related with the material in a third couplet and expressed the writer’s purpose in a fourth couplet. That is, standardized pattern appeared in the both. It shows Park-Sang’s “Sasippalyoung” has connection in composition technique with Choi-Hang’s “Sasippalyoung”. Though Park-Sang’s “Sasippalyoung” has connection in composition technique with Choi-Hang’s “Sasippalyoung”, at the same time, poem writing characteristic following writer’s personality existed. Park-Sang’s “Sasippalyoung” express a material in each verse with different aspects upon composition technique, simultaneously, made as an intermediation and communicated specific elements like time background, appearance, condition etc.. Hence the work forms elaborate texture. It is a different characteristic of Park-Sang’s “Sasippalyoung” compared to Choi-Hang’s “Sasippalyoung”, which communication between verses are suppressed when dealing with a material in various aspects using Composition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