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신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예산제 시범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 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일상의 변화 경험을 통해 개인예산제의 국내 도입 가능성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Crewswell(2016)의 사례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나와 세상 사이의 거대한 장벽”, “꿈 을 위한 디딤돌”, “깨달음의 미학”, “목표를 향한 추진”의 공통주제를 도출하였으며, 개별화 서비스를 지향하는 참여자들의 욕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예산제가 국내에 제도화되기 위한 7가지의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기능적 재활과 환경적 재활이 병 행되어야 한다. 둘째, 사례관리를 문제해결관점과 강점관점으로 나누어 후자에 대해 개인예산제를 적 용하는 것을 현장에서의 실천적 대안으로 제시한다. 셋째, 보호자에 의해 서비스를 수동적으로 참여 하는 경향이 있어, 성인전환기의 자기주도 개별화 서비스 실천을 위한 개인예산제의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가정의 보호자 및 법정대리인 등 자립 지원 비용의 문제 및 전문자립에 대한 지원이 요구된다. 다섯째, 장애인 자립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 및 자립지원 거점기관의 육성이 절실하다. 여섯째, 지역사회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장애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일곱째, 민간차원에서 시범사업을 운영하 여 개인예산제에 대한 국내의 실천적 경험을 확장 시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raises the research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experiences that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ve by participating in the individual budget system and conducts an in-depth inquiry into the possibilities of introducing the system into the na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s with daily life changes. By adopting the methodology of Crewswell (2016), the researchers identified common topics including a huge wall between the world and me, obstacles to my dream, aesthetics of realization, and pursuit of my goal. The study also checked the desire of the participants towards individualized service. Based on its findings, the study made seven proposals to promote the safe implementation of the individual budget system into the nation: first,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rehabilitation should happen at the same tim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case management should be divid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problem solution and strength, and the study proposes the application of the individual budget system to the latter as a practical alternative in the field; third,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a tendency for passive participation in service due to their caregivers. The individual budget system needs to support the practice of self-directed individualized services during a transition into adulthood; fourth, there should be support for self-reliance costs and professional self-reliance of family caregivers and legal representatives; fifth, there is a desperate need to cultivate professionals and base institutions to support the self-relia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ixth, the community should try to improve the perceptions of disabilities more actively;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practical experiences with the individual budget system in the nation through pilot projects at the private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