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605년에 발생한 건퇴 전투를 고찰하고, 그것이 조선의 대여진 정책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16세기 중엽, 조선은 번호로 구성된 울타리[藩籬]를 구축하여 심처호에 대응하였다. 오래지 않아 여진 사회의 내부적 변동으로 인해 번호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게 되자, 조선은 征討를 통해 사태를 진정시키고자 했다. 이로 인해 선조대 중‧후반에는 여진의 침구에 대한 조선의 군사활동이 매우 왕성하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번호와 연계된 건주여진‧훌룬 등의 심처호로 인해 무력을 통한 사태의 해결은 요원했고, 건퇴 전투의 패배를 기점으로 조선은 여진 정책의 변화를 모색하기에 이른다. 이 글은 온성‧종성에서 벌어진 번호와의 공방전이 훌룬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었고, 훌룬이 조선과의 교역 루트를 확보하고자 건퇴 부락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하였음을 밝힌 것이다. 조선은 건퇴 부락에 건설된 성채를 제거하여 번호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하고자 했으나 군사 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 조선과 훌룬은 ‘번호규례’에 입각하여 화친했고, 이 같은 방식은 훗날 건주여진에도 적용된다. 건퇴 전투의 전개과정과 그에 따른 조선의 태도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조선과 여진의 관계가 ‘만주’와의 그것으로 변화해가는 첫 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Battle of Gunt'oe in 1605 to examine its significance in the changes it brought to the Joseon’s policy on the Jurchens. In the mid-16th century, Joseon tried to establish a fence consisting of Boundary Jurchens against Deep-Dwelling Jurchens. Before Long, with the social changes among the Jurchen tribes, Joseon sought to stabilize the movement of Boundary Jurchens through ‘punitive expeditions’ (征討), thus increasing the frequencies of military operations against the Jurchens in Seonjo’s reign. However, punitive expedition revealed its limitations due to Deep-Dwelling Jurchens such as Jianzhou Jurchen and Hūlun related to Boundary Jurchens. This article articulates that the conflict between Joseon and the Jurchens at Onsung and Jongsung region was directly related to Hūlun, who set up an encampment of Gunt'oe village to put Joseon under pressure for the trade, resulting in clash of arms. To recover its influence on Boundary Jurchens, Joseon operated to eliminate the fort constructed at the Gunt’oe village, but the expedition was failed. Joseon agreed on a truce with Hūlun and by considering them as a Boundary Jurchen tribe, conceded to open trade markets. This arrangement was later applied to their relations with Jianzhou Jurchens. The Battle of Gunt’oe and its aftermath shows the changes in Joseon’s attitude toward the Jurchens, and laid a path to the transition of Joseon-Jurchen relations to Joseon-Manchu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