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대규모 영상 자료 수집 프로젝트의 성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이 조직되고공동 조사·연구·아카이빙 작업들이 꾸준히 쌓이고 있다. 이 글도 이러한 작업을토대로 한국전쟁 영상 연구의 방법론을 세우고 학술적·대중적 영상아카이브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연구 해제의 예시를 보여주고자 한다. 영상은 관련 문서·사진·구술 자료의 교차 분석과 비판적인 종합을 통해서 역사적 사실을 구성할 수 있는 역사 자료다. 무엇보다 영상 이미지는 문서상 서술이나 구술로도 충분히 전달하기 여러운 시대적 분위기를 충실히 재현한다. 영상연구는 영상에 등장하는 사람·사물·장소·날짜·사운드·배경·사건의 진행·내래이션 등의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런 분석을 토대로 영상(촬영)의 기술 요소와 역사적·사회적 맥락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접근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상의 생산 주체와 의도, 영상의 피사체, 영상 촬영의 방법과 기술에 대해종합적으로 접근하면서 한국전쟁 영상 연구 방법론을 논의한다. 그러면서 영상이 의도하고 시각화한 재현과 역사 현실의 균열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성찰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런 것이 가능하려면, 영상의 수집 단계에서부터 영상의 메타데이터에 대한충실한 ‘목록 작성과 서술(cataloging)’이 이루어져야 하고, 해당 영상과 관련한문헌 연구와 문서·사진·구술 자료들을 교차분석하면서 영상의 군사적·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분석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이 글은 미 육군 푸티지영상 중 71통신대 A중대 사진대 영상팀이 촬영한 모윤숙 체험 관련 영상(RG 111 ADC- 8517)과 거제도포로수용소 올림픽 관련 영상(RG 111 LC-29589)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 해제를 작성해 예시한다.


Recently, research teams have been organized and joint research, and archiving works have been consistently accumulated based on large-scale film collecting projects. Based on such projects, this article tries to build methodology of studies on Korean war footage films and exemplify research analysis and explanation which should be provided in academic and public film archive. Pictures are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constitute historical facts through cross analysis and critical aggregation of related documents, photographs, oral data. Above all,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s, which cannot be expressed sufficiently only by statements in documents or oral datas, can be represented faithfully through images. Image study is to analyze information such as people, objects, sound, backgrounds, development of events, narration in images. This paper profoundly accesses and understands technical factors and historical·social context of image photographing. To be specific, discussing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Korean War images by comprehensively accessing the producing subject, intention, subject, and photographing method and technique, this paper analyzes the gap between historical reality and visualized representation the image intended and reflectively assesses the meaning of the crack. To make such work possible, while sufficiently cataloging and describing metadata of images should be accomplished at the stage of collecting imag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military·social·historical context of the images by cross analysis of associated documents, photographs, oral datas and research of related literature. This article exemplifies overall research analysis and explanation of U.S. Army footage film about experiences of Mo Yoonsook(RG 111 ADC-8517) and Olympic games in pow camp No.1(Keoje-do) which were taken by motion picture team, photograph unit, A company 71 Signal Battal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