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日本書紀』에 기재된 백제, 신라, 고구려의 지명은 현존하는 한국 측 사료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국 측 고대 사료의 부족이 주된 원인이겠지만, 그 외 『日本書紀』편찬에 참조한 사료의 차이에 따른 동일지명의 異表記와 일본어 音譯으로 기록된 지명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日本書紀』에는 백제지명이 가장 많이 보이고, 신라, 고구려 지명이 보이는데, 권9, 14, 17, 19, 26, 27에 편재되어 있다. 이는『日本書紀』에 인용된 백제계 사료에 의거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삼국의 지명은 두 글자 지명이 가장 일반적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지명표기의 특징으로 한 글자 지명은 훈독하는 경우가 많았고, 세 글자 지명은 대부분 語尾에 「ki」와「ri」가 붙어있었다. 네 글자 지명은 한국어를 일본어로 음역한 용례가 다수 보였다. 삼국의 지명에 사용된 表記字를 中古音의 음성표에 적용시켜본 결과, 入聲字와 次淸音字의 사용이 적게 나타났다. 入聲字가 적은 것은 入聲音[r]을, 陰聲音[ri, ru]로 음역하여 표기하였기 때문이며, 次淸音字가 적은 것은 고대 한국어에서 全淸音과 次淸音의 구별이 없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추정하였다.


The notation of geographical names of the Three Kindoms(Baekje, Silla, and Goguryeo) that used in the Nihon Shoki(the Chronicles of Japan) is hard to be found in existing Korean historical records. This is mainly due to the lack of ancient Korean historical records. In addition to that, same names were marked differently as the Japanese records referred to different Korean materials, and the names using sound borrowed from Japanese words were recorded in the Korean historical records. Out of the Three Kongdoms, Baekje's geographical names are most often seen in the Nihon Shoki with names for Silla and Goguryeo also appearing. This seems to prove that the Nihon Shoki primarily referred to historical records from Baekje. Two-lettered place names were the most common for the Three Kindoms. Due to the features of geographical names, one-lettered names are often ideographically rendered from Chinese characters, and most three-lettered names have 'ki' and 'ri' attached at the end of the words. Four-lettered names are often rendered through phonetic translation(sound borrowing) from Korean words. Applying the letters used for the place of the Three Kingdoms to the phonetic tablets of the middle-aged sound system of Chinese shows that the use of the 'entering sound' and 'aspirated sound' were rare. This is because entering sound 'r' is mostly replaced by 'negative sound' 'ri,' or 'ru.' This phenomenon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re was no actual distinction between 'aspirated sound' and 'clear sound' in ancient Korean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