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本稿では、韓日リメイクドラマにおいて類似した場面での会話を比較し、隣接対、好まれる応答形式と好まれない応答形式、それ以外に見られる表現、連鎖組織の拡張(前置き連鎖、挿入連鎖、後方連鎖)はどの場面でどのような形で表れているのかを考察した。その結果、以下のようになる。 1)韓日隣接対の多いのは「質問/応答」であった。続いて「説明/応答」、「問い返し/応答」、「意思伝達/応答」の順で表れている。韓国の場合、「話かけ/応答」、「質問/問い返し」のように話者が知りたいことを問い相手の応答を早速達成させるし、会話を終結させようとすることが確認された。それに対し日本の場合、「謝罪/応答」、「勧誘/応答」のように相手と相互にやり取りながら隣接対を行っていた。 2)好まれる応答形式と好まれない応答形式は韓国が日本より相手の体面を傷付ける好まれない応答形式を用いられる傾向があった。韓国の場合、相手に感情を表わし摩擦と衝突を起る好まれない応答形式を用いられる反面、日本の場合、相手の体面を傷つけないように最小にしようとすることが分かった。 3)韓日の好まれる応答形式と好まれない応答形式以外の表現では相手の職位、歳の差によって呼称の相違にあった。韓国の場合、先に相手の歳を確認し、自分の位置が目上か目下かによって、上下関係の秩序を定めて人間関係を始めようとすることが確認された。それに対し、日本の場合、相手の職位を承知しているが、相手との年齢の差が人間関係を維持し、上下関係の区別に大きな影響に及ばさないことが分かった。 4)韓日の連鎖組織として前置き連鎖は韓日ともベース隣接対に進むように発話の準備段階として作り出されているのが確認された。次に、挿入連鎖はベース隣接対の間に別の発話の連鎖が生じることが分かる。後方連鎖はベース隣接対の後に位置し、連鎖が終わらせないように後方に拡張されることが分かった。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the aspects of pre-sequences, insertion sequences, and post-sequences along with the differences in adjacency pairs and preferred answers in similar scenes in Korean and Japanese remake dram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In terms of the adjacency pairs in Korean and Japanese, the most common type was “Question/Answer” in both Korean and Japanese, followed by “Explanation/Answer”, “Asking again/Answer”, and “Communication/Answer.” In Korea, sequences were made, in which speakers asked for opinions and induced the partners’ answers quickly, like “Initiation of a conversation/Answer,” and “Question/Cross-question” while in Japan, sequences were made, in which the speakers exchanged opinions with the partners like “Apology/Answer” and“Suggestion/Answer.” 2) In the form of preferred answers in Korean and Japanese, the speakers used answers that damaged the reputation of the partners in Korea more than in Japan. In Korea, the speakers damaged the reputation of the partners by making remarks that created friction and conflict while revealing personal emotions, while the speakers tended to minimize the responses that damage the reputation of the partners in Japan. 3) In Korean and Japanese expressions other than preferred answ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forms of addres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ge of the partners. In Korea, first, the speakers tended to distinguish the hierarchy of human relations, checking the partners’ age and recognizing their position. In Japan, although the speakers recognized the partners’ position, the age gap did not affect the distinction in the hierarchy. 4) The pre-sequences in Korean and Japanese sequence organizations were used as a preparatory stage to promote the progression of base adjacency pairs, while the insertion sequences were made as other adjacency pairs were inserted between the base adjacency pairs. The post-sequences followed immediately behind adjacency pairs and revealed how base adjacency pairs expanded by extending utterance sequences, not ending them.


본 연구에서는 한일 리메이크 드라마에서 나타나는 유사장면에서의 인접쌍의 차이, 선호응답형식, 선호응답형식 이외에 볼 수 있는 한일 표현의 차이, 서론연쇄, 삽입연쇄, 후방연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일 인접쌍에서는 한일 모두 「질문/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설명/응답」, 「되묻기/응답」, 「의사전달/응답」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말걸기/응답」, 「질문/반문」과 같이 의견을 묻고 상대방의 응답을 빨리 유도하는 연쇄가 이루어진 반면, 일본의 경우 「사죄/응답」, 「권유/응답」등과 같이 상대방의 의견을 주고 받는 연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2) 한일선호응답형식에서는 한국이 일본보다 상대방의 체면을 손상시키는 응답을 하고 있었다. 한국의 경우 개인적인 감정을 드러내면서 마찰과 충돌을 빚어내는 발언을 해 상대방의 체면을 손상시키는 반면에 일본의 경우 상대방의 체면을 손상시키는 응답을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3) 한일 선호응답형식 이외의 표현에서는 한일간 상대방의 지위와 나이에 따른 호칭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는 먼저 상대방의 나이를 확인하고 자신의 위치 파악하여 인간관계의 상하관계를 구별하는 경항이 있었다. 일본의 경우는 상대방의 직위를 인지하고 있지만, 나이 차이가 상하관계의 구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4) 한일 연쇄조직의 서론 연쇄에서는 한일 모두 베이스 인접쌍으로 진행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사용하였으며, 삽입연쇄는 베이스 인접쌍 사이에 또 다른 인접쌍이 삽입되어 연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후방연쇄는 인접쌍의 직후에 위치하며, 발화연쇄를 끝내지 않고 이어나감으로서 베이스 인접쌍이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Adjacency pair, Sequence organization, Preferred and non-preferred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