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잠재적 학업중단과 이행된 학업중단이 연속적인 과정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 가족, 학교, 지역사회 요인이 고등학교 시기의 잠재적 및 실재적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 중학교 1학년 패널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다중대체법(multiple imputation)을 적용하여 결측치로 인한 자료의 손실을 보완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한 요인이 고등학교 시기의 실재적 학업중단자와 잠재적 학업중단자 집단을 구분짓는데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업지속자에 비해 공통적으로 고등학교 1학년 시기 비행경험이 있거나 부모의 감독수준이 낮거나 중학교 3학년 시기에 잠재적 학업중단의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비행경험과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잠재적 학업중단 가능성은 고등학교 시기의 학업중단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며, 양친부모와 거주하거나 특목고에 비해 일반계고나 특성화고에 다니는 경우에는 학업중단 경향성이 낮았다. 셋째, 학교에 다니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비행경험이 있거나 일반계나 특성화고에 재학하거나 중학교 3학년 시기 잠재적 학업중단 가능성 수준이 높은 청소년은 고등학교 2학년 시기 잠재적 학업중단 수준이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기상황의 조기발견 및 회복프로그램 개발 등의 예방 및 개입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dropout as a continuous process, we examined personal, familial,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that explain high school dropout as well as potential school dropout, operationally defined as a condition in which adolescents remain in school without meaning given to school life and study. For this,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0. Main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ose categorized into executed or potential school dropouts were more likely to have delinquent behaviors, lower parental supervision, or have higher levels of potential school dropout tendency when they were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hen all other factors are controlled, having experiences of delinquent behaviors, high levels of potential school dropout tendency at middle school, or attending special-purpose high school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high school dropout, while having intact families decreased it. Third, among high school students, having experiences of delinquent behaviors, high levels of potential school dropout tendency at middle school, or not attending special-purpose high schools increased the levels of potential school dropout. Based on findings, we suggested early detection of dropout crisis and other preventive and intervention programs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