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1-2-3음절 검사를 이용하여 언어학적 증상에 따른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로 낱말 길이에 따라 조음 정확도가 어떠한지 자세히 살펴보고, 정확도를 바탕으로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을 구별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3세에서 9세 11개월의 161명의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1-2-3음절 검사를 실시하였다. 말소리장애는 조음 장애, 음운 지연, 일관적 음운장애, 비일관적 음운장애 4가지 하위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2-3음절 과제의 정확도는 낱말, 음운, 모음, 자음, 목표음절 수준에서 측정하여 말소리장애 하위집단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낱말, 음운, 자음, 목표음절 정확도는 말소리장애 집단과 낱말 길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과 낱말 길이에 따른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말소리장애 하위집단 중 음운지연과 비일관적 음운장애는 낱말 길이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비일관적 음운장애 아동은 낱말의 음절이 증가할수록 오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1-2-3음절 검사의 정확도와 낱말 길이 효과를 바탕으로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을 구별할 수 있으며 비일관적 산출과 일련의 소리를 배열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확인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ord length effects in a 1-2-3 syllable string test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s) and to examine whether the accuracy in the 1-2-3 syllable string test could differentiate subgroups of SSDs classified by linguistic symptomatology. Methods: The 1-2-3 syllable string test was administrated to a total of 161 children with SSDs from 3 years to 9 years 11 months of age. The children with SSDs were classified into four subgroups, articulatory disorders, phonological delay, 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 and 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 Accuracy in the 1-2-3 syllable string test was measured at word, phoneme, vowel, consonant, and target syllables; and compared among SSD subgroups. Results: The main effects of SSD subgroups and word length exhibited significances at word, phoneme, consonant, and target syllables level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ubgroups and word length was also significant. Phonological delay and 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f word length; and in particular, children with 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errors as the number of syllable in the test words increased.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subgroups of SSDs can be differentiated based on accuracy and word length effect in a 1-2-3 syllable string test, which can be useful in identifying children showing inconsistent productions and sequencing difficul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