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암환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가족 대상 TSL 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암환자의 자살위험성을 예방하기위한 사회복지적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암환자를 대상으로 2015년 4월부터 약 5개월간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208 사례를 수집하였고, 이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을 제외한 203부를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SP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암환자의 28.1%(50명)가 자살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인식은보통으로(5.82점) 인식하는 편이었다. 우울은 61.6%(125명)가 임상적 개입이 필요한 수준으로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우울이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은 완전 매개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대상 TSL 의사소통은 우울이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관적 건강인식이 부정적인 암환자의 우울을 통한 자살위험성 증가를 해소하기 위한 국가적 지원방안과 긍정적 가족관계 형성을 위한 치료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elf-rated health status to the suicide risk of cancer patient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SL family communication to prevent suicide risk in cancer patients. A survey of cancer patients was conducted for about 5 months from April 2015 to collect 208 cases, and 203 of them were used as final data except for the questionnaire with insufficient answers. This was analyzed using SPSS macro.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icide risk of cancer patients was 28.1% (50), and self-rated health status was usually perceived (3.17). Depression was found to require clinical intervention in 61.6% (125).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Self-rat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n the suicide risk of the survey subj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through complete mediation. Third, TSL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is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e ris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national support plan for resolving the increased risk of suicide through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with negativ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a therapeutic intervention plan for forming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