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초등국어 교사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대학의 교육과정을 목적, 편성, 운영, 평가의 면에서 점검하였다. 목적 면에서는 현재의 역량 중심 접근에 더해 실제적 지혜로 구체화되는 도덕인 상을 추가할 필요가있다. 편성 면에서는 교직과 교과교육 과목 간에 융합과목 개발, 교양과목의담당 역할 추가, 비교과과정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운영 면에서는 비대면 수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토대로, 코로나19 이후에도 비대면 교육을 25% 정도유지하되, 블렌디드학습, 플립러닝, PBL 학습을 강화하고, 교양과목과 국어과교육 과목별로 강화할 내용을 제안하였다. 평가 면에서는 학회가 중심이되어 각 교대의 초등국어 관련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새로운 평가 체제 구축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revisited the curriculum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related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CUTE) based on its purpose, organization, operation, and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add teachers’ expectation that are embodied in phronesis (meaning practical wisdom) in addition to the current competency-based approach. We suggest developing convergence subjects, expanding the roles liberal arts subjects, and strengthening the extra curriculum. Non-face-to-face classes should be maintained at about 25% of total classes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with blended, flipped, and PBL learning. Moreover, course contents must also be renewed. Finally, a new system that is led by academy to evaluate CUTE should be introduced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