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노화의 생태학적 이론(The Ecological theory of Aging)에 기반하여 노년기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공동거주제 이용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 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5개 지역과 경상남도 2개 지역, 총 62개소의 공 동거주제를 이용하는 여성독거노인과 동일 지역의 비이용 여성독거노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32명 중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통계적 동질성이 확보된 이용노인 119명과 비이용노인 119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될수록 삶의 만족도 는 감소하였다. 둘째, 공동거주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공동거주제를 이용할 경우 전반 적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거주제를 이용할 경우 도구적 일상생 활수행능력의 저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 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농촌 여성독거노인을 위한 주거 대안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 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Drawing on the ecological theory of aging,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ealth status of older women in rural area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s of living in communal homes. Data came from the sample of residents in 5 regions of Gyeongsangbuk-do, 2 regions of Gyeongsangnam-do, and 62 communal homes and their peers in the conventional homes. Propensity score analysis was used to construct the comparison group, using the socio-demograph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as matching variables. As a result, 238 (living in communal homes group=119, control group=119) piece of data were selected,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 1) those who needed more assistance with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had a lower life satisfaction score, 2) the residents in communal homes reported a higher life satisfaction score compared to their peers in conventional homes, and 3)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assistance with IADL and life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living in communal homes.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housing alternatives such as communal homes to promote successful aging in place among older women in rural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