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학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것으로 판단되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999)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2009)의 접미사 수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표준》의 354개 접미사와 《고대》의 347개 접미사를 비교한 결과 《표준》에만 수록된 접미사는 83개, 《고대》에만 수록된 접미사는 60개가 확인되었다. 《표준》에만 수록된 접미사에는 더 분석 가능한 접미사(‘-ㅁ직스럽-, -ㅁ직하-’ 등)를 하나의 표제어로 올린 것과 동일한 한자를 명사와 접미사 두 가지로 올린 경우(‘-가량06(假量), -곡08(曲)’ 등)가 있었다. 두 사전에 공통으로 수록된 접미사는 뜻풀이 범위를 비교하였다. 두 사전 모두에서 고유어 접미사보다 한자어 접미사의 뜻풀이 범위가 상대사전과 비교하여 넓은 예들이 많았다. 한자어 접미사의 경우 뜻풀이 보완이 이루어져 추가된 뜻풀이가 확인되는 것이다. 두 사전의 뜻풀이 범위가 동일한 접미사 중 184개가 뜻풀이 개수까지 동일하였다. 뜻풀이 개수는 다르지만 범위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표준》 보다 《고대》가 뜻풀이를 세분한 예가 많았다. 결과적으로 《고대》가 《표준》보다 뜻풀이를 더 추가하거나 세분하여 제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all the suffixes which are entries of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SKLD》(1999) and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KUKD》 (2009). First,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s between 354 suffixes of SKLD and 346 suffixes of KUKD. As a result, 83 suffixes are identified to appear only in SKLD while 60 suffixes are identified to appear only in KUKD. Among SKLD-only suffixes, there are two kinds of entries where the one is related to more analyzable suffixes, the other is related to double word classes such as noun and suffix. Second,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meaning definitions of common suffix entries of both dictionaries. Both dictionaries show that Sino-Korean suffixes have more extensive meaning ranges than native Korean suffixes. Among the entries with the same meaning ranges, 184 entries are identical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senses, and KUKD shows the finer sense differentiation than SK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