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방대한 한문 고전자료를 디지털 환경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고찰한 것이다. 디지털과 스마트 환경에서는 개인이 쉽게 접근하기 힘든 한문 고전자료라 하더라도 가공의 과정을 거쳐 플랫폼 형태로 구성하여 컨텐츠로 만들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근대 동아시아 지식과 지식인지도의 사례를 통해 이를 제시해 보려고 하였다. 지식과 지식인지도는 기왕의 것과 다른 하나의 학술 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술사적 지평은 넓다. 더욱이 전근대 지식과 지식인지도를 통해 새로운 지식의 수용과 생성의 궤적과 그 추이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다양한 지식의 수용과 유통 등을 통해 새로운 지식의 생성과 변이, 그리고 지식과 관련한 다양한 내용이 사회와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개인 연구가 할 수 없는 연구의 시야와 연구 방법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This thesis examines how to utilize the vast amount of classical Chinese material in a digital environment. Basically, even in a digital and smart environment, even if it is a classic Chinese material that is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easily access, it is desirable to make content and utilize it by going through a process of processing and composing it in the form of a platform. For this purpose, as an example, I tried to present this through the case of pre-modern East Asian knowledge and knowledge map. In particular, the horizon of academic history is wide in that knowledge and knowledge map show an academic field that is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Moreover, through pre-modern knowledge and knowledge map,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rajectory of acceptance and generation of new knowledge and its trends. You will also be able to check how you are meeting with society. This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perspective and research method for research that cannot be done by individual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