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COVID-19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적절한 온라인 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그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지원 요구를 밝히는데 있다. [방법] D대학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대학생 4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현상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인간이 가지는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고 다양한 현상 안에 내포된 깊은 의미까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를 살펴보면, 자신이 희망하는 온라인 교육 지원을 신청하여 지원을 받고 있었으며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양식에 따라 희망하는 온라인 교육 지원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청각장애대학생 대부분의 경우 구어를 주요 의사소통으로 사용하는 학생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경우 속기 통역 지원을 희망하지만 현재 D대학에 배치된 전문 인력 부족으로 희망하는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다수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부족으로 인하여 온라인 교육 내용의 이해도는 떨어졌으며, 학교생활에서의 한계점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청각장애대학생들은 주요 의사소통 방법이 변화됨에 따라 온라인 교육 지원 인력 또한 변화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둘째,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시 개선과제를 살펴보면,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수용 환경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 안정적인 온라인 교육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예산 확보 및 전문 인력 배치, 실시간 자막 시스템 개발,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지속적인 안내 제공 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청각장애대학생의 요구에 맞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온라인 교육 지원 요구를 조사해야 할 것이며, 또한 가장 적절한 온라인 교육 지원 서비스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is support, and based on the results, to seek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ir online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potential spread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and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support neede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Method]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D University, and based o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tend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and essence of human experiences and even their deep implications within various phenomen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view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y were receiving online education after applying for online education support and they desired different types of online educ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ir mainly used communication modes. At present, most universit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primarily use verbal communication, and in this case, they prefer shorthand interpretation. However, many students experienced the difficulty of not receiving the support they wanted due to a shortage of professional workers placed at D University. This lack of support lower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online educational content and they exhibited various limitations at school. Hence,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hope that workers supporting online education will also be changed in line with changes in primary communication method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areas for improvement in providing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it is recommended to make concrete efforts to improve the general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and create an environment of embracing them, secure the budget for developing online education support systems and deploy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 real-time subtitling systems, and continue to provide information to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 In order to provide online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ir online education support needs, and a procedure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online education support services is also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