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4-2020년 국내에서 수행된 역사수업 연구 63편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같은 63편의 연구에 대해 방법론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의 후속 연구로, 최근 수년간 이루어진 역사수업 연구의 주요 담론을 규명하여 역사수업 연구의 역할과 의미를 재고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역사수업 연구가 전제로 하고 있는 연구의 출발점과 좋은 역사수업의 의미, 역사수업 연구의 개념 등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역사학의 특성이 반영되는 역사수업, 지향하는 가치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역사수업, 교사-역사-학생의 상호성과 개별 맥락 속에 위치하는 역사수업, 새로운 교수법을 실험하는 역사수업이라는 4개의 담론으로 범주화하고, 이에 해당하는 연구 성과들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특히 4가지 수업연구 담론이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공통적으로 다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해당 수업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 방식,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전개된 수업의 양상, 학생과의 상호작용 및 교사의 역할 등의 국면에 나타난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각 수업 연구 담론에서 배움의 공동체는 각각 역사 이해를 굴절시키는 비판의 대상, 지향과 실천의 대상, 분석하고 설명해야 할 교육 현상, 혁신적인 방법을 적용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문제로 인식된 상황이나 어려움은 각 담론에 따르면 역사학으로부터 분리된 활동 중심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 교사들이 협력하여 극복할 수 있는 문제,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한 분석과 설명이 필요한 문제 혹은 문제 상황의 제거와 적절한 시행 방법의 처방이 필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별로 연구 문제 설정 방식뿐 아니라 연구 대상의 선정과 연구 방법의 선택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대한 견해 및 좋은 역사수업에 대한 정의 등에도 투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역사수업 연구 담론에 따른 차이를 인지하고, 정치한 연구 방법을 통해 역사수업 연구를 수행할 때 역사수업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상상이 확장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s of 63 history teaching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 2014-2020.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to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f the same 63 studies. It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reconsidering the role and meaning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by clarifying the main discourses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focusing on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premised on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the meaning of good history lessons, and the concept of history lesson research, the discourse of history lesson research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ategorized into four discourses: a history teach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a history teaching that aims to realize the values ​​pursued, a history teaching that is located in the individual context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history-students, and a history teaching that tests new teaching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