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트럼프 시대와 바이든 시대 미국의 대중전략에서 나타나는 연속성과 단절의 지점을 일관되게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처의 형태발생론을 활용해 구조적 변수, 구조와 행위자의 상호작용, 행위자들 사이의 전략적 상호작용에 주목해 트럼프 행정부와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전략을 분석했다. 트럼프의 대중 전략은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에게 제기된 전략적 과제의 연장선에서 파악될 수 있다. 그러나 트럼프의 특이성이나 국내 정치적 기반 등으로 인해 관여전략으로부터의 이탈, 상호의존성의 무기화라는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다.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전략 또한 트럼프 행정부와 매우 강한 연속성을 띤다. 그러나 트럼프와 달리 가치 동맹, 나아가 생산・기술 동맹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다. 미국의 수정주의적 패권 전략과 중국의 대응 속에서 미중 전략경쟁은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 이러한 상황을 순치시키고 생존을 모색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plain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U.S. China strategy in the Trump and Biden era. Utilizing Archer’s morphogenetic analysis based on critical realism, this study synthesized structural factors with strategic interactions and coherently explained U.S. strategy toward China. We can witness both strong structural continuities and important situational discontinuities in Trump and Biden administration’s foreign strategy toward China. However, Trump and Biden administration share revisionist hegemonic strategy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will exacerbate. South Korea should seek for effective strategy to prevent the U.S. and China from being a veto power to its interest and sec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