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논증 텍스트를 생산할 때에는 자신의 주관을 독자와 공유하고, 이를 객관화하고자 하는 ‘주관의 객관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표현의 힘으로 작동할 수 있는 언어적 자원들이 교육 내용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논증 능력 발달을 위한 언어적 교육 내용이 체계적으로 제공되고 있지 않다. 그로 인해 본격적으로 논증을 생산해 내어야 하는 대학생들의 텍스트에서조차, 논증 텍스트의 장르성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학생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고, 이들이 ‘주관의 객관화’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주어 ‘나’의 실현/비실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분석한 결과, 주어 ‘나’의 실현과 더불어, 필자 지칭 표현의 실현 양상도 함께 살펴보아야 함이 관찰되었다. 또한, 함께 결합한 인지 동사와 헤지 표현 역시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객관화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중등 국어과 교육에서 중핵이 될 수 있는 논증 텍스트 교육 내용을 언어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언을 하였다.


While producing argumentative texts, writers should share the subjectivity in their opinions with readers. In addition, their writings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objectification of this subjectivity; linguistic educational content, which can enhance writers' abilities, should be offered. However,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National Curriculum does not cover such linguistic educational content systematically. This results in a serious situation wherein eve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often demanded to produce their own arguments, are not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of argumentative tex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s the (non)realization of the subject 'I' which university students use in their academic writings for the purpose of objectifying their subjectivity. Therefore, not only the subject 'I' but also authorial self-mention should be observed. Furthermore, the degree of objectification can be properly judged only if the cognitive verbs and hedging phrases accompanied by the subject 'I' are investigated in a holistic manner. Based on these observations, certain suggestions could be made for the main content of secondary school's argumentative writing classes. One of the key recommendations is that all the content should be designed to help students recognize the genre of characteristics in argumentative texts through the use of linguistic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