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9년에 개봉한 타이완 영화 『반교』는 상업적으로는 물론이고, 작품성으로도 큰 성공을 거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은 1960년대 타이완의 백색테러 시기에 타이완인들이 경험한 트라우마를 통해서 역사적 경험을 다시금 떠올리고, 그를 통해서 오랜 기간 정체성의 혼란 속에서 살아온 타이완인들의 화해를 시도하고 있다. 작품 속 트라우마는 단일적인 것이 아닌, 이중의 것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이것은 공통의 역사적 경험을 상기시키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트라우마 스스로가 지니고 있는, 진정한 자유로 향하는 것과 동시에 타이완인들 사이의 화해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힘을 지닌 가능성을 타이완인들에게 되새기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 속 트라우마의 가능성은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개념을 통해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주류 담론에 의해서 배제되고, 더 나아가 죄악시되는 것들에게 대해서 아브젝시옹이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 개념은 단순히 죄악시 되는 비체들에 대한 설명뿐만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서 인간 개체의 주체 형성 과정을 되짚어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작품 속에서 등장하는 이중의 트라우마를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개념을 통해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 속 트라우마가 지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This paper has several purposes. First, it examines the meaning of Free in Taiwanese film Detention. Detention is the film representing Trauma from the White terror era in the 1960’s Taiwan. The trauma representing in the film showed that the identiry problem in Taiwan. The problem showed in the film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free, so it’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ilm. Second, it seeks the way to find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among Taiwanese in the film. I argue that the film raise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by showing common trauma in historical experience.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I challenge that analyze the flim through the concept of abjection from Julia Kristeva. I think that the trauma in the film is illustrated double abjection in nightmare. I expect to be able to find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through abjection progress that is illustrated in the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