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고연방에서 금기시됐던 민족문제의 공론화를 초래한 연방 중기의 중요한 문학논쟁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사회주의 유고 문학을 대표하는 두 작가 도브리차 초시치(Dobrica Ćosić)와 미로슬라프 크를레쟈(Miroslav Krleža)의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정치적 알레고리를 팩션 형식으로 표현한 작품인 『죽음의 시간』(Vreme smrti)과 『깃발』(Zastave)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1980년대 초 이후 본격적으로 대두할 세르비아·크로아티아 민족주의 문학담론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했다. 특히 초민족주의 문화모델(사회주의적 유고슬라비즘)을 지향했던 유고연방 초기의 대표적인 문화적 아이콘이었던 두 문인 엘리트가 유고슬라비아 통합주의 이념에서 민족주의적 분리주의를 지지하는 입장으로 급선회한 경위 및 그런 사상적 전환과 관련된 사회적·정치적 맥락을 고찰했다. 아울러 이들 두 작가의 그러한 급격한 사상적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근거로, 『죽음의 시간』과 『깃발』 전후에 발표된 평론과 에세이 등 다양한 문헌에 피력된 그들의 정치적 견해를 부수적으로 고찰했다. 동시에 두 문인 엘리트의 사상적 변화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사회적, 정치적 사건을 살펴보았으며, 유고연방 내에 민족주의 문학담론의 문을 연 두 작품 『죽음의 시간』과 『깃발』에 대한 문학 내재적 분석과 함께, 두 작품의 출간에 즈음한 연관된 사회적, 정치적 사건을 살펴보았다. 또한 결론에서는 1980년대 초~1990년대 초에 대거 등장하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 민족주의 문학담론의 서사적, 이념적 특징에 대해 간략하게 고찰했다.


This study is primarily devoted on the exploration of one of the most well-known literary polemics of the Yugoslav literature in the 1960s, and of the societal and political views of the two almost canonical Yugoslav writers Dobrica Ćosić, Miroslav Krleža, reflected on their own literary and critical writings including their most influential works “The Time of Death”(Vreme smrti) and “The Banners”(Zastave) which can be read as the allegorical works that make references o the political reality of Socialist Yugoslavia.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unded on the synthetic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two literary texts together with the sociopolitical surroundings around the time, when those works were published in Yugoslav society. In this, the researcher explores why those two literary elites radically changed their political and ideological orientations from being the advocates of the unified socialist Yugoslav idea to being the supporters of the nationalistic separatism, and to being the creators of their own versions of Yugoslavism.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influences made by those two prominent Yugoslav literary elites on the subsequent literary discourses which overtly or implicitly expressed nationalistic views on the Yugoslav society, and which often appeared around the time of the disintegration of SFRY. Finally,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paid a special attention to the thematic features of the nationalistic literary discourses of the last period of the second Yugoslav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