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방임, 심리적 특성, 스마트폰 중독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른잠재평균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2차년도(2014)의 학업중단 상태에 있는 45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결측치는 기댓값-최대화 알고리즘를 활용하여 처리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시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 낙인감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에 부적인 영향,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방임은 자아존중감에부적인 영향,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 미래에 대한 생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아탄력성은 스마트폰 중독에 부적인영향,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낙인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우울의 단순매개효과 및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방임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우울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우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적 낙인감과 부모 방임을 낮춤으로써 적응적 심리적 특성을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tigma, neglec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Methods 454 out-of-school adolescents panel data from NYPI's School Drop-Out Adolescents Panel Study in 2014 utili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tigma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ego-resiliency while it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In addition, neglect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the self-esteem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but a positive influence on thinking to future.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were also found to have exercised as predictor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self-esteem,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showed both a simple and a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smart-phone addi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also double-mediated sequen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latent means analysis by gender were observed that the mean value of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Conclusions Thus, it suggests in-depth future studies with regard to lower social stigma and neglect to raise adap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der to reducing smart-phone addiction in out-of-school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