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전공 교육 만족도와 물리치료사의 직업가치 인식을 알아보고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의 진로지도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 되었으며, 설문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물리치료학과 진학 동기, 전공 교육 만족도, 물리치료사의 직업가 치 인식, 물리치료사란 직업의 사회적 가치 인식 등 에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된다. 설문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통계분석은 spss ver 28.0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상관계수분석,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 다. 연구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른 전공 교육 만족도 는 각 유의확률 .368, .68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본인이 생각하는 직업가치 인식은 유의 확률 .03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에 따른 유의확률은 .46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과 학 년에 따른 사회적 직업 인식은 각 유의확률 .483, .077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공 교육 만족도에 따른 물리치료사의 직업가치 인식 수준을 상관 분석 한 결과 상관계수 .483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물리치료학과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 교 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과 물리치료사에 대한 직업 가치인식 수준이 높은 것은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리치료학과 전공 대학생의 진로지도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y students' major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occupational value of physical therapists and provided basic data to be used for career guida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o collect data on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motivation for joining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tisfaction with their academic majors, and perception of occupational and social value of physical therapy. Using SPSS version 28,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undertaken and a Chi-square test performed for 174 respon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with as each p-value .368, .68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job value according to gender as a p-value .032,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value according to gender of .463.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social job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with as each p-value .483, .077.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483 that analyzed the level of perception of occupational value of physical therapists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major education. In conclusion, students’s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academic majors exhibited considerable correlation with their perceived high occupational value of physical therapy. It is believed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career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Physical Therapy, Major Education, Major Satisfaction, Occupational Value, Job Per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