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actions in Korea through cases in which native speakers of Japanese felt "ignored" in South Korea. After a preliminary survey,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using online reviews on an internet webpage that Japanese in Korea use widely. "無視" was adopted as a search word for the survey. The definition of "ignore" in this study is that when some reaction is required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t is not done. This includes two sub-definitions: (A) There is no reaction/response to some action taken by one person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B) Even if there is no clear action, it is not done when one wants some reaction to the other.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following became clear: 1.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the act of "reacting" to the actions of others, including あいづち (Responding), is not a sign of approval or consent, but a sign of "I am listening" or "I can hear." 2. Native Japanese speakers often ask for a reaction or response without taking a clear action for it, and if they do not get it, they may feel "ignored". As a secondary point, the study provided suggestions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ternet-based research, as well as behavioral research issues regarding requests. In the future, our next goal will be to appl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o the educational scene.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모어 화자가 한국에서 [無視]를 느낀 사례를 통해 한국에 있어서의 [반응/ 무반 응]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사는 앙케이트에 의한 예비 조사를 거쳐, 재한 일본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게재된 경험담을 조사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無視」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어떠한 반응이 요구될 때 그것이 이루어지 지 않는 것]으로 정의한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본어 모어 화자에 있어서는 1.맞장구를 포함한 상대의 액션에 대해 [반응]을 하는 행동이 찬동하거나 승낙하는 뜻보다는 [듣고 있다] 혹은 [들린다]는 뜻이며, 2. 명확한 액션을 하지 않아도 반응이나 대응을 요구하는 경우가 적지 않음으로 3. 그것을 얻을 수 없을 때 「無視された」라고 느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결과에 따라 일본어 모어 화자의 대인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無視]는 (A) 한쪽이 보여준 어떠한 액션에 대한 반응/응답이 없는 것, (B) 명확한 액션은 없어도 한쪽이 다른 한쪽에 어떠한 반 응을 원할 때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라는 두 가지의 하위 정의가 포함되는 것을 제기하는 바이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조사에 장단점이 있는 것과 현행의 의뢰 행동 연구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시사를 주 는 결과가 얻어졌다. 앞으로는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점을 교육현장으로 환원하는 것이 과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