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교양한문’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법 연구이다. 실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선 대학의 강의향상 프로그램으로 ‘교수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비대면 수업의 효율성 강화에 초점을 두었다. 비대면 수업 진행을 위한 <표준수업계획서>를 만들고 ‘교양한문’ 10개 분반에서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후 교육혁신원에서 제안하는 교과목 컨설팅도 받았다. ‘교양한문’ 전 분반에서 교육적 성과 및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소통 등에 관한 역량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교양한문’ 비대면 수업은 동영상 녹화강의와 Zoom을 활용한 실시간화상수업으로 병행하는 본 수업 외에도 첫째, 한자동영상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매 주차별 30여자의 한자를 익힌 것을 40문항 내외의 한자퀴즈로 진단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한자자가점검인 <설문>과 교과목 학습진단도 시행하였다. 셋째, 교과목 컨설팅을 받은 후, 그 결과에 대해서도 수강생들 과 공유하였다. 이처럼 ‘교양한문’은 선순환하는 비대면 수업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수업참여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eaching methods for a real contact-free class of Chinese characters. For this purpose, a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y” was organized for better instruction at colleges and focus was placed on the reinforcement of efficiency of contact-free classes. Following this, a Standard Class Plan was made for a contact-free class that would apply real instruction for ten classes of Chinese characters as a subject with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consulting was presented by the Institute for Innovation in Education. All the classes of Chinese characters received a good evaluation in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for their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respect to the contact-free Chinese character program, in addition to video lessons and real-time Zoom classes, the followings were included: First, a Chinese character video lesson was presented and the students were tested with the use of a short quiz consisting of 40 questions. Secon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among the students, a test for learning diagnosis was made. Third, after the consulting was completed, the results were shared between the students. In this manner, the Chinese character class was designed as a precyclic, contact-fre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to increase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