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最樂堂 朗原君 李偘(1640∼1699) 시조 작품의 가집 수록 및 전승 양상을 계보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전승 개념 즉, 최초로 수록된 문헌에서의 작품 텍스트에 대한 원형적 보존을 전승으로 이해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텍스트의 변개와 斷章取義, 작자 명기의 변화 등 분절적인 형태로의 전승까지도 포괄하는 ‘확장적 전승’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대안적 전승 개념의 필요는 다음과 같다. 주시하다시피 20세기 이후 국민문학 담론 속에서 ‘문학으로서의 시조’가 대두함에 따라 시조 또한 근대문학작품의 형식이 요구하는 고정된 작품 텍스트, 개인으로서의 작가 정체성, 1:1의 작가-작품 관계를 갖고 있거나 혹은 가져야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이해 방식은 시조의 정체성과 향유방식을 감안하지 못하며, 시조 갈래 자체가 내포한 유동성을 오히려 소거 또는 약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확장적 전승 개념을 통해 재고된 낭원군 이간의 시조는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19세기 이후에도 전승을 지속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뿐만아니라 그 전승 과정의 면면을 살펴보면, 최초 수록문헌인 『청구영언 진본』에서의 付記가 이후 가집들에서는 탈락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에 따라 작품에 대한 이해가 변화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묶음으로 이해되던 작품 군집들이 전승 과정에서 해체되어 독립적인 개별 작품으로 인식되어 후대 가집에서 재배치되는 양상 또한 찾아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후대 가집에서 전승이 지속되는 작품이라 할지라도 그 전승의 의도, 성격, 형태 등이 균질하지 않으며 작품에 대한 수용 맥락과 이해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그간 고정불변의 1:1 대응 관계로 간주된 작가-작품의 관계와 더불어 시조 전승의 개념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실마리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spects of the poetry collections of 最樂堂 朗原君 李偘(1640∼1699) from a genealogical perspective. In this process, it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concept of transmission, that is, the method of understanding the archetypal preservation of work texts in the first documented literature as a tradition, and embraces the transformation of texts, 斷章取righteous, changes in the author's specification, and even the transmission in a segmental form. 'Expanded inheritance'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he need for an alternative concept of inheritance is as follows. As you can see, with the rise of 'Sijo as literature' in the discourse of national literature since the 20th century, Sijo also has a fixed work text, individual author identity, and a 1:1 author-work relationship required by the form of modern literary works. understood to exist or to have. Such existing understanding methods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identity and enjoyment of the Sijo, and have resulted in the elimination or weakening of the fluidity inherent in the Sijo branch itself. Contrary to conventional wisdom, it can be seen that the ancestors of Nangwon-gun Igan, reconsidered through the concept of extended transmission, continued to be transmitted even after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if we look at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process, we can find that the 付記 in the first recorded document, 'Chunggeongyeongeon Jinbon', is dropped from the later collection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changes accordingly. It can also be seen that groups of works, which were understood as a group, are dismantl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are recognized as independent individual works and rearranged. In other words, even if it is a work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acceptance context and understanding of the work is changing. Through this observ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clue for reflective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sijo tradition along with the artist-work relationship,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fixed and unchanging one-to-one correspon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