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현행 자료제출명령제도의 내용과 한계를 살펴보고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의 시사점을 검토한 다음 특허소송 심리에 있어서 증거수집절차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자료제출명령제도는 신청인이 신청대상이 되는 자료를 구체적으로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특허사건에서의 증거의 구조적 편재를 시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 둘째,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는 단점도 많지만 쌍방 당사자가 대등하게 자료를 조사 및 수집할 수 있고, 모든 증거자료가 조사됨으로써 실체관계가 명확하게 파악되며, 이에 따라 분쟁이 조기에 해결되고 법원의 심리부담이 경감되는 장점이 있다. 특허소송에 있어서 증거수집절차 개선방안을 논의함에 있어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자료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제도 마련이 시급한바,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가 주는 시사점에 주목해야 한다. 셋째, 특허소송에 있어서 증거수집절차 개선을 위해서 자료제출명령 불이행에 대한 제재를 보다 강하게 정할 필요가 있고,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를 참고하여 증거수집 과정에서 영업비밀을 적절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비밀유지명령제도를 보완해야 하며, 전자적 정보 및 검증청구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요청된다. 넷째, 한국형 디스커버리 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모색적 증거신청의 허용 여부, 변론기일을 조기에 지정하는 현재의 실무의 변경 여부, 소송비용 증가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영업비밀이나 프라이버시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 등의 논점에 대한 집중적인 검토가 요청된다. 다만 증거수집의 도모를 통한 실체적 진실에의 접근을 소송의 바람직한 지향점으로 삼는다면 한국형 디스커버리 제도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Patent Act’s provision concerning the order to produce materials, the provision’s contents and limits, and lessons from the American discovery process. It goes on to discuss improvements that could be made regarding evidence collection procedure in patent litigation. This paper’s finding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limits to rectifying the structural maldistribution of evidence in patent lawsuits since the party that files for an order to produce materials under the current provision would find it difficult in specifying the materials that ought to be produced. Secondly, while the American discovery process has its flaws, it has strong points of allowing both parties to collect and examine the relevant materials on equal terms, leading to better establishment of facts as all evidence materials are examined, thus making possible early resolution of disputes which in turn reduces the burden on courts. Therefore, when it comes to improvements that could be made regarding evidence collection procedure in patent lawsuits, a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provision that allows access to materials held by the adverse party, lessons from the American discovery process are noteworthy. Thirdly, if we are to improve evidence collection procedure in patent lawsuit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sanctions against failure to comply with an order to produce materials; there is a need to make improvements to provisions for confidentiality-protective order in order to more adequately protect trade secrets in evidence collection process - with the American discovery process in mind; an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new regulations regarding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and right to inspection. Fourthly, regarding introduction of the discovery process in Korea, we need to focus our attention on the key issues such as: whether we will allow fishing expeditions; whether we will change the current practice of setting trial dates early on; how we will deal with the increase in litigation costs; and how we will protect trade secrets or privacy. If we believe in the ideal that lawsuits should lead to an approach of the substantive truth through evidence collection, then we might seriously consider introducing the discovery proces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