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말 동사 중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쓸 수 있는 능격 동사의 실제 쓰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명사+-化+-하다’ 구성인 동사 가운데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쓰인다고 “우리말샘”에 풀이된 동사이다. 이 구성이 실제로 자동사, 타동사로 모두 활발히 쓰이고 있는지를 말뭉치의 검색 결과로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명사+-化+-하다’가 자동사로 쓰이는 경우에는 ‘명사+-化+-되다’와 통사적으로 의미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데, 이러한 쓰임이 실제 언어 현실에서는 어떻게 반영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명사+-化+-하다’ 구성은 전반적으로 타동사로의 쓰임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하다’ 자동사의 수가 타동사의 수보다 많거나, 자동사로만 쓰인 말뭉치 검색 결과는 그 수가 적었다. ‘-化’는 ‘그렇게 만들거나 됨’을 뜻하므로 그 의미에 이끌리다 보면 ‘명사+-化’ 구성이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나타나는 것이 당연하고 그 비율도 어느 정도는 비슷할 듯하나 언어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보여 준다. ‘명사+-化’에 ‘-되다’, ‘-시키다’가 결합한 동사의 쓰임도 비교해 보았다. 전반적으로 ‘명사+-化+-하다’의 타동사의 쓰임이 우세한 단어에서는 ‘-되다’가 붙은 자동사의 쓰임이 조금 더 우세하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명사+-化+-하다’가 피동과 자동의 의미를 모두 나타내기에 그 기능의 부담이 많아 기능의 부담을 탈피하기 위해 ‘-되다’를 생산적으로 사용하여 식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되다’와 대립되므로 ‘-하다’는 타동사로서 쓰이는 경향을 보일 수 있겠다. 비슷한 맥락에서 자동사의 의미가 ‘ㅇㅇ되다’와 통하고, 타동사의 의미가 ‘-시키다’가 붙은 표현 ‘ㅇㅇ시키다’와 통하기 때문에 ‘-시키다’의 쓰임이 생산적으로 생겨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ㅇㅇ시키다’가 전반적으로 쓰임이 많지 않은 것은 ‘ㅇㅇ하다’가 타동사로의 쓰임이 확보되면서 몇몇 개별 어휘를 제외한 전반에서는 ‘-시키다’가 현저히 많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명사+-化+-하다’가 자동사로의 쓰임이 타동사로의 쓰임보다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이는 우리말의 언어 현상의 하나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ctual use of the verb, which can be used in both automatic and transitive Korean verbs. The verb ‘N+-hwa+-hada’ has the use of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But in language reality, we seem to recognize the use of this composition a little differently. Therefore, we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 verb ‘N+-hwa+-hada’ is actively used for intransitive or transitive verbs. It also conducted research on cases where there is a ‘N+-hwa+-hada’ verb paired with a ‘N+-hwa+-toida’ verb. Most of the subjects studied are in this case. Since ‘N+-hwa+-toida’ verbs are only used as intransitive verbs, there are differences in individual vocabulary. However, it is a review of the shrinking use of ‘N+-hwa+-hada’ as an intransitive verb. The research process showed that ‘N+-hwa+-hada’ which can be used as both intransitive and transitive in general, has a lot of uses for other verbs. More specifically, we can categorize it into three. In some cases, the use of other verbs is dominant. Or,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use for transitive verbs.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is boiling. If we present the results in a more conclusive manner, the use of ‘N+-hwa+-hada’ verbs, the use of transitive verbs prevailed. The number of intransitive verbs was higher than that of transitive verbs, or fewer were used only as automatic verbs. Overall, words combining ‘-sikida’ and ‘-toida’ were found in words with many transitive verbs of ‘N+-hwa+-hada’. There is a significant functional burden for ‘N+-hwa+-hada’ verbs to be used as an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 Therefore, it is less likely to distinguish between passive and transitive verbs. Therefore, ‘-toida’ can be seen as being distinguished using productive use. For similar reasons, the use of ‘-sikida’ may be productive. If it proves that the use of intransitive verb is less than that of transitive verb, it can explain one of the linguistic phenomena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