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정태진의 현실개혁 방안을 정리한 것이다. 정태진은 개항기에 경상도에서 태어나 근현대사의 격동기를 겪으면서 성리학자로서의 삶을 살았다. 그는 이병호와 곽종석의 제자로 성리학을 익혔고, 일제 강점기에 유학자들의 독립운동에 참여하였으며, 대부분의 생애는 학문을 연마하고 후진을 양성하면서 보냈다. 정태진은 주자학과 퇴계학을 중시한 성리학자였고, 천주학이 성행하는 상황에서 성리학을 지키고 전수하면서 유학이 회복되기를 기대하였다. 그는 이황의 학설이 주자학의 전통을 이었고, 원나라와 명나라 학자들의 학문은 이황의 학문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하였다. 정태진은 과거 시험의 과목을 네 개로 묶어 3년마다 과목을 바꿔가면서 시험하게 하였다. 과거 합격자를 관리를 임명한 다음에는 9년이라는 장기간을 주어 근무 성적을 평가하게 하였다. 이러한 방안은 주자의 주장을 따르면서 정약용과 비슷한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정태진은 빈부 격차가 커짐에 따라 나타나는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전제를 시행하자고 주장하였다. 그는 정전제의 핵심은 토지의 균등한 분배와 1/10세에 있다고 생각하였고, 이를 통해 빈부 격차를 해소하고 국가의 재정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정태진의 방안은 유형원, 이익, 정약용과 유사한 점이 있었다. 정태진은 전통 성리학의 명맥을 보존하고 이를 후학에게 물려주면서 유학이 회복될 날을 기다렸다. 그가 제시한 현실개혁 방안은 그의 후학들이 이뤄주기를 기대하는 제안이었다.


This paper summarizes Jeong Tae-jin's plans to reform reality. Jeong Tae-jin was born in Gyeongsang-do province during the opening of the port period and lived a life as a Neo-Confucianist during the turbulent period of modern history. He learned Neo-Confucianism as a disciple of Lee Byung-ho and Kwak Jong-seok,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pent most of his life learning and fostering younger generations. Jeong Tae-jin was a Neo-Confucian scholar who valued the study of Zhuxi and the study of Toegye, and expected to recover Confucianism by protecting and transferring Neo-Confucianism in the midst of the prevalence of Catholicism. He thought that the study of Toegye continued the study of Zhuxi, and that the studies of scholars in the Yuan and Ming kingdoms fell short of Yi Huang’s study. Jeong Tae-jin grouped the subj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into four and made them take the test by changing the subjects every three years. After appointing a person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s a public official, a long period of 9 years was given to evaluate his work performance. His plan was to follow Zhuxi’s argument and propose a similar plan to Jeong Yak-yong’s. Jeong Tae-jin insisted on implementing a Jeongjeon(井田) system to solve the economic problems that arise a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widens. He thought that the keys to a Jeongjeon(井田) system were in the equal distribution of land and 1/10 tax, which could bridg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solve the country’s fiscal shortage. Jeong Tae-jin’s plans were similar to those of Yoo Hyung-won, Lee ik, and Jeong Yak-yong. Jeong Tae-jin waited for the day when Confucianism would recover by preserving the reputation of traditional Neo-Confucianism and handing it over to his younger students. Jeong Tae-jin’s plans to reform reality were the proposals that he expected his juniors to achie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