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現代版畫』는 광주의 ‘현대창작판화연구회’가 1934년 12월부터 1936년 5월까지 발행했던 목판화잡지였다. 목판화운동의 진원지였던 상해가 장개석의 멸공정책으로 해산되었던 시기, 광주는 반장개석파가 정권을 잡았고, 비로서 광주에서 목판화운동이 일어날 수 있었다. 광주의 목판화운동은 좌익미술가들이 주도했던 상해와 달리 모더니스트를 자처한 광주시립미술전과학교의 서양화과 교수 李樺와 그의 제자들이 이끌었다. 이화는 1934년부터 1935년까지 총 7통의 편지를 魯迅과 주고 받으며 『현대판화』의 창작 방향을 수정해 나갔다. 초기의작풍은 입체주의나 야수주의 화풍과 소련 목판화가 공존했으나, 중국의 전통 목판화 - 漢代 畫像石, 明代 서적 삽화, 민간 年畵 – 와 유럽의 양식을 조화롭게 융합하라는 노신의 조언을 받아들이면서 변화를 보이게 된다. 민간의 삶을반영하는 소재 선택, 독일 표현주의 판화와 민간 전통 – 佛山年畵, 불경 판화, 부적에 이르기까지 - 을 융합하려는 양식적 노력이 더해져 이화의 <외쳐라 중국이여 !>가 예시하는 바 처럼 독특한 판화 양식을 만들어 가게 된다. 1935년12월 9일 북경의 항일학생운동의 여파가 광주에도 불면서 『현대판화』는 17집에반제국주의 특집호를 발행하고, 시위 탄압 장면과 인물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했다. 단체를 이끌었던 이화는 중일전쟁 시기 국통구의 대표적 판화가로 활동하면서 신중국 성립 후 중앙미술학원의 판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판화계를 이끌었다.


Modern Prints was the pictorial published by the Modern Print Society of Guangzhou from December 1934 to May 1936. The member of the society was Li Hua, the drawing instructor of Guangzhou Municipal School of Fine Art and his fellow. By the time the artists of Shanghai, the epicenter of Chinese Wood Cut Movement were oppressed by the Anti communist policy of Nationalist Party of Chiang Kai-shek’s. From the 1931 onward Chen Jitang of the anti Chiang Kai-shek faction, took control Guangdong Province, this accounted for the political atmosphere that had allowed the Modern Prints Society to exist and flourished Guangzhou for the time being. The wood cut prints of Li Hu before the first contact with Lu Xun in December 1934, showed the modernism style of Cubism and Fauvism. In the letters to Li Hua, Lu Xun emphasized importance of returning to Chinese traditions for inspiration. He advised Li Hua to combine European styles with the line of Han Dynasty reliefs, materials of Ming and Qing book illustration, and New Years pictures appreciated by the common people. The effort to combine the German Expressionist wood cut and folk traditions – New Years Pictures from Foshan, Buddhist engravings and amulets- was successfully demonstrated in Li Hua's <Roar, China!>. As the aftermath of student movement in Beijing on December 9. 1935 to protest the ‘anti communist self governance’ in Northern China, spread to Gwangju, Modern Prints published an ‘Anti-Imperialist Issue’ in its 17th volume, directly embodying the scenes of suppression of protests and the suffering of the students. During the Sino-Japanese War, Li Hua was active as a representative wood cut printer of the Nationalist Pa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