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창작 시 활용할 수 있는 ‘목표-경로’의 설정과 이에 따른 스토리의 분화및 장르 전환 방법을 제안했던 선행 논문의 후속편으로, ‘목표-경로’ 내 설정을 구체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인물의 성격을 재구성하여 사건과 갈등의 선택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 평이한 스토리를 전환시킬 수 있는 요소와 방법, 목표와 정보량에 따른 오해와 은폐를 통한 서사적 반전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본고는 인물의 성격을 세계에 대한 인식과 대응 속도를 축으로 한 좌표 내 좌푯값으로새롭게 규정하였다. 이어 좌표의 초깃값에 따라 인물의 성격이나 변화를 구성할 수 있으며, 좌푯값의 좌우·상하, 그리고 대각선에 대한 대칭 혹은 그 역에 따라 사건과 갈등을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스토리가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는 인물의 내· 외부적 상황 요소들을 제시하여 입체적인 서사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서사적 반전을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고는 반전을 세 가지로유형화하고 각각 작가-인물-관객의 정보량 차이, 목표에 대한 인물의 오해나 은폐와 관계된다는 것을 확인, 이를 중심으로 반전 서사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서사 내 요소들을 연결하고 범주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여 창의적인 작법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follow-up of a preceding study that proposed the ‘path-goal’ that could be utilized in creative writing and the methods for differentiating the story and switching the genre accordingly, which would propose a method for concretizing the setting in the ‘path-goal.’ To do so,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for reconstructing the character’s personality to utilize it in choosing incidents and conflicts, element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simple story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reversal of the narrative through misunderstanding and concealment according to the goal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First, this study redefined the character’s personality as a coordinate value in the coordinate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and the speed of response to it as the axis. Then, this study explained that the character’s personality or change could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initial value of the coordinate and that incidents and conflicts could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ymmetry of the left and right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coordinate values, and the diagonal or vice versa.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by propo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al elements by which a story could welcome a turning point. Lastly, this study drew out a measure for constructing the reversal of the narrative. This study categorized the reversal into three, found each of them related to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in the writer, the character, and the audience and the character’s misunderstanding and concealment of the goal and propose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versal narrative, focusing on that. Ultimatel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me up with methods for connecting and categorizing elements in the narrative to propose a creative writ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