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고등학교 진학과 성취에 대해서 학생 배경 요인이 미치는 영향이 지난 10년간 어떻게 변했는가를 탐색하였다. 특히 가정배경 변인으로 경제적 측면(가구소득, 사교육비), 문화적 측면(부모 학력), 사회자본의 측면(가족 자기개념) 등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코호트 데이터와 2013코호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 1학년부터 고 2학년까지 사이의 중학교 성취수준, 고등학교 진학, 고등학교 성취수준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진학과 성취수준에 대해서 성별, 지역, 가정배경, 학생특성 등의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코호트별로 분석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단순 변화의 측면에서는 2005코호트(2005~2009)에 비해서 2013코호트(2015~2019)의 사교육비 지출이 중학교와 고등학교 단계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고등학교 진학의 경우 특목고(자사고 포함) 진학 학생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진학에 대한 영향력 측면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단계에서 성별(여학생), 지역(읍면지역), 가구소득, 사교육비, 부모학력과 같은 배경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사회불평등이 심화되는 시기에 사회경제요인에 의한 교육격차를 확대할 가능성을 보여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단계에서 교육격차와 불평등의 발생과 확대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how the influence of student background on high school admission and achievement has changed over the past 10 years. For this purpose, the middle school achievement, high school admission, and high school achievement were sequentially analyzed, using the 2005 data and the 2013 data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It has focused whether the effects of backgrounds such as gender, region, family background, and student characteristics was different between the two cohort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ncreased at both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a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entering selective high schools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 gap of gender, region, family incom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parents’education level has been expanding. The finding implies that educational gap caused by student background can widen when social inequality is intensify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