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마을교육과정에 대한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흘 마을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운영에 참여했던 교사와 마을교사 총 6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 3일~24일 사이에 6차례에 걸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교육과정은 ‘학교와 마을의 교집합’, ‘출발을 위한 최소한…’, ‘삶을 엮어내는 그릇’으로 경험되었다. 둘째, 마을교육과정은 방과후 생태교육프로그램 단계, 무학년 마을교육과정 단계, 학년군별 마을교육과정 단계Ⅰ, 그리고 학년군별 마을교육과정 단계Ⅱ의 4단계로 발전하였다. 셋째, 마을교육과정은 마을교육공동체의 성장 과정에서 기폭제, 연결고리, 버팀목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마을교육과정의 성공요인은 생태라는 합의된 가치, 우연처럼 좋았던 구성원, 그리고 습지센터라는 거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선흘 마을교육과정에 대한 경험의 본질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henomenologically the experience of Maul Educational Curriculum [MEC] in the mist of maul education community growth. To accomplish i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six times from July 3 to July 24, 2021. Participants were three school teachers and three maul-teachers who participated in developing and operating Seonheul MEC.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experienced MEC as ‘the intersection between school and maul’, ‘minimum for departure’, and ‘a bowl containing the people’s life.’ Second, MEC had developed into four stages: after school eco-program, non-grades MEC, grade-cluster MEC Ⅰ & Ⅱ. Third, MEC was played the roles of a catalyst, a connecting link, and props in the mist of maul education community growth. Finally, the successful factors of MEC were reveled such as shared value of ecology, good members by coincidence, and the wetland center as a base. Based on these results,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Seonheul MEC was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