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6차(2018) 이 연구는 제15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하였 음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자기주도성, 수업방법 및 피드백의 3-way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창의성의 하위 영역으로 독창성, 호기심, 탐구심을, 수업방법은 구조화된 수업, 발문법, 토의법, 발견탐구학습, 협동학습 등 5가지 유형으로 상정하여, 조절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은 토의법을 제외한 4개의 수업유형, 피드백과 상호작용하여 독창성, 호기심을 유의하게 상승시켰다. 둘째,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성은 모든 수업유형, 피드백과 상호작용하여 탐구심을 유의하게 상승시켰다. 흥미로운 점은 자기주도성과 수업방법, 자기주도성과 피드백, 수업방법과 피드백의 2-way 상호작용은 자기주도성의 창의성 개발 효과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했지만, 자기주도성, 수업유형 및 피드백 간 3-way 상호작용은 자기주도성의 창의성 개발 효과를 높이고 있어, 2-way 상호작용의 부적 효과를 상쇄시킨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 자기주도성은 다양한 수업 유형 내에서 교사 피드백이 반드시 함께 작용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토의법 중심의 수업은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 아닌 다양한 학습자의 아이디어를 인정하고 격려하는 피드백을 함께 했을 때 창의성 개발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3-way interaction effect of self-direction, teaching methods, and feedback on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KELS2013 6th data. Originality, curiosity, and inquisitive mind were assumed as sub-domains of creativity, and five teaching methods were assumed, such as structured class, question-and-question method, discussion method, discovery and inquiry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nd each moderate effect wa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dir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originality and curiosity by interacting with four types of classes and feedback excluding the discussion method. Second, the self-dir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quisitiveness by interacting with all teaching methods and feedback. Interestingly, two-way interaction between self-direction and teaching method, self-direction and feedback, and teaching method and feedback worked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creativity, but 3-way interaction of self-direction, teaching method, and feedback increase creativity, offsetting the negative effects of two-way interac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creativity, self-direction should work together with feedback in various circumstances of teaching methods. However, it suggested that discussion-oriented classes are effective in developing creativity when feedback that recognizes and encourages the ideas of various learners is shared rather than reaching an agre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