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2020년 한 해 동안 보건복지로 분류된 국민청원 중 복지이슈 청원 452개 청원의 내용을 통해 코로나19 시기 국민의 복지 욕구를 도출하였다. 자료는 국민청원 웹사이트에서 웹스크래핑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SPSS와 Atlas-ti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20년 한 해 동안 복지 분야 국민청원은 19개 대범주와 107개 세부범주로 분류되었으며 코로나 관련한 복지 욕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어 장애인, 요양간병, 복지시설 및 인력 관리운영, 사회, 사회보험, 아동가족, 보육, 저소득/노동/고용, 청년, 노인, 공공부조, 주거, 한부모, 정신건강, 입양, 외국노동자, 노숙인 등의 순으로 많은 관심과 욕구가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청원은 새로운 정책이나 제도를 제안하거나 기존 제도의 개선이나 보완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일부는 신고고발, 칭찬 등을 의도하였다. 이처럼 국민청원은 대체로 작게는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집단 및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 크게는 더 나은 사회와 국가를 만들기 위한 제도화를 주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로부터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적 재난 상황에서 복지영역의 대처와 준비, 사회적 수요와 관심이 높은 사회서비스의 제공과 전달, 청원과 같은 사회적 요구 활동에서 특정 집단의 배제 가능성과 정보 접근성의 문제, 특정 집단과 해당 집단에 속하지 않는 국민들 간의 인식의 간극과 해결, 사회복지영역의 전통적 문제에 대한 재발견과 대응, 최근 시행을 시작한 제도들의 구체적 개선 방안,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자료로서 복지 욕구 파악을 위해 국민청원자료 활용 체계 구축 필요성 등에 대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elfare needs of people from a bottom-up approach using welfare-related national petitions among petitions classified as health and welfare registered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0, the period of Corona pandemic at National Petition website. Data was collected by web scraping and 452 petitions was utilized for final analysis. The findings of content analysis using Atlas0ti indicate that people have had interest and needs related to 19 categories such as Corona19, the disabled, nursing care, social insurance, child⋅family, nursery, low-income/labor/employment, young adults, the old, public assistance, housing, single parent family, adoption, foreign workers and homeless in order. Additionally, most petitions, nearly 90%, were proposed with the intent to propose new policies or to improve or supplement existing policies and systems. In this respect, petitions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their own or the community to which they belong, and largely to make a better society and state, but rarely lead to institutional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urrent study proposes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the coping and preparation of the welfare sector in response to a pandemic situation, providing and delivering social services with high social demand and interest, dealing with accessibility to political and social action including petitions among specific groups, the gap between the welfare needs of a specific group and the general public, the discovery and improvement of traditional and new problem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the necessity of system establishment for utilizing national petition data to identify welfare needs of people from a bottom-up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