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전공시인 손익구조변경공시는 확정 재무제표 공시 전에 이익을 공시하는 최초 공시로서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공시정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손익구조변경공시상 현금흐름표 등을 공시하지 않기 때문에 재무제표가 공표되기 전까지 손익구조변경공시 때 발표된 이익의 질을 측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손익구조변경공시 이익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대용변수로 손익구조변경공시 BTD를 제안하고, 손익구조변경공시 BTD를 이용하여 사전적으로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예측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는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확정이익 공시 전에 사전적으로 이익조정을 탐지하고 이익의 질을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인지를 세 가지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첫째, 적자회피모형을 이용하여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이익조정의 유용한 측정치인지를 검증한다. 둘째,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큰 기업이 확정이익 공시 때 이익반응계수가 작은지를 알아본다. 셋째, 손익구조변경공시 BTD와 재량적 발생액의 관련성 및 설명력을 살펴봄으로써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사전적으로 재량적 발생액의 대용변수로서 유용한지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익구조변경이익 또는 감사보고서상 확정이익이 적자회피구간에 있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손익구조변경공시 이익 또는 확정이익의 유용한 대용치임을 의미한다. 둘째,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큰 기업이 확정이익 공시 때 이익반응계수가 더 작게 나타났다. 이는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확정공시된 이익의 질에 대한 유용한 예측치임을 의미한다. 셋째, 손익구조변경공시 BTD는 재량적 발생액과 정(+)의 관련성을 가지며,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확정이익 공시전 이익조정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손익구조변경공시상 이익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손익구조변경공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is the first disclosure of earnings prior to the disclosure of financial statements, and is the disclosure with the highest stock market reactions. Therefore, material change disclosure has been recognized as useful information for investor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in material change disclosure, they cannot measure earning quality before the disclosure of financial statements .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BTD (book-tax difference) in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as a proxy variable for the earnings quality that can be estimated as financial data in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This study investigates in three aspects whether BTD is a useful tool to detect earnings management or measure the earnings quality. First, the usefulness of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is investigated using the B&D model. Next, we examine whether a firm with a high BTD in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has a high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Finally, we examine the relevance and R-square of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and loss avoidance firms. Second, the firms with a high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show a lowe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and discretionary accrua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This study expand the usefulness of material change disclosure by proposing a proxy for the earnings quality of material change discl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