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남해안 일대를 아우를 메가포트 구축에 있어 인접한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항만물류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한 투입산출모형을활용해 두 지역 항만물류산업의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수출및 물류 발생, 즉 항만의존산업에 있어서는 경상남도가 부산광역시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이를 활용한 항만물류산업에 있어서는 부산광역시가 우위를 점하고 있다. 경상남도에 발생하는 물류가 부산광역시의 항만물류산업에 더욱 높은 생산과 부가가치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보관 및 창고업에 있어서는 유일하게 경상남도가 높은 총생산을 보였으나, 이마저도부가가치 창출 능력에 있어서는 부산광역시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두 지역 공통의 주력산업인 자동차부품의 수요 증가에 따른 각 지역 항만물류산업의 생산과 부가가치도 비교 분석하였다. 자동차부품의 항만물류 산업 생산과 부가가치 효과는 부산광역시가 더 높은 유발효과를 얻었다. 경상남도에서 발생한 수요에 대해서도 수상운송서비스와 기타 운송 관련 서비스를 중심으로 부산광역시가 많은 부분 흡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진해신항의 건설로 남해안 메가포트의지정학적 중심에 경상남도가 자리 잡게 된다. 현재 경상남도가 가진 보관 및 창고업의 부가가치제고, 프레이트포워더의 경상남도 내 육성,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를 각각 수출중심과 환적중심의 항만산업 특화 육성 등은 두 지역 항만물류산업의 균형 잡힌 성장과 승수효과를 함께 누릴수 있는 방안이라 생각된다. 무엇보다 비즈니스에서부터 행정에 이르기까지 항만산업을 경상남도의 주요 먹거리로 여기고 활용할 수 있는 항만전문인력 양성과 비즈니스 생태계를 마련하는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port logistics industries in the construction of Megaport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and find ways for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two regions to have a multiplier effect. Using input output model based on the Bank of Korea's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I analyzed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nd value-added inducement effect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two reg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Gyeongsangnam-do Province showed a higher level tha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erms of export and logistics generation, that is, the port-dependent industries, but Busan Metropolitan City has the upper hand in the port logistics industry. Logistics occurring in Gyeongsangnam-do Province is found to cause higher production and added value to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However, Gyeongsangnam-do Province showed the only high gross production in the storage and warehouse industries, but even this was lower tha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erms of its ability to create value added. Busan Metropolitan City also had a higher inducement effect in the production and value-added of each local port logistics industry due to the growing demand for automobile parts, a common major industry in the two regions. Even on the demand generated in Gyeongsangnam-do, it was confirmed that Busan Metropolitan City is absorbing a large portion of water transportation services and other transportation-related services. With the construction of Jinhae New Port, Gyeongsangnam-do will be located at the geopolitical center of Megaport on the south coast. Enhancing the added value of storage and warehouse businesses in Gyeongsangnam-do, fostering freight forwarders in Gyeongsangnam-do, and fostering port industries centered on export and transshipment, respectively, are ways to enjoy balanced growth and multiplier effects of the two regions. Above all, efforts should be made to foster professionals in the port logistics industry and establish a business ecosystem that can utilize the port logistics industry as a major food item in Gyeongsangnam-do, from business to administration.